潘, 제3지대서 勢규합 .."끝까지 간다"
◆ 설 직후 창당준비위 추진
반기문 캠프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존 정당에 들어갈 경우 중도보수를 중심으로 국민 대통합을 추진하는 빅텐트 설립이 어려워진다"며 "캠프 분위기는 신당 창당 쪽으로 기울었고, 반 전 총장의 최종 결단만 남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반 전 총장이 본인의 지지율보다 훨씬 뒤처지는 기존 정당에 들어갈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다만 대선 이전에 실제 창당이 이뤄질지, 아니면 창당준비위 체제가 장기화될지는 미지수다.
세력 규합과 지지율 흐름에 따라 속도 조절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만약 반기문 신당에 동참하는 현역 의원이 20명을 넘어선다면 이를 중심으로 여야에 산재한 비문재인 세력을 흡수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 반 전 총장은 지난 21일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와 비공개 독대를 하고 협력 가능성을 타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반 전 총장에게 영입 제안을 받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이날 "무엇이 한국과 보수정권 재창출, 바른정당을 위해 도움이 되는 길인지 바른정당 분들과 함께 논의할 것"이라고 연대 가능성을 열어뒀다. 반 전 총장과 가까운 한 새누리당 중진 의원은 "창당준비위원회 체제를 만드는 게 급선무"라며 "반 전 총장이 바른정당으로 갈 확률은 매우 낮아졌다"고 말했다. 반 전 총장이 신당 창당으로 기울었다는 평가는 이날 반 전 총장을 직접 만난 새누리당 초·재선 의원들에게서도 나왔다. 23일 반 전 총장을 만난 의원은 박덕흠 권석창 이만희 최교일 이양수 이철규 민경욱 박찬우 김성원 등 9명이다.
민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바른정당에 간다는 얘기를 한 적이 없다고 하시더라"며 "통합적으로 가야지, 선별적으로 어느 정당에 들어간다는 게 아니더라"고 전했다. 민 의원은 특히 "반 전 총장은 중도 사퇴는 있을 수 없고 끝까지 간다고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 이명박·박근혜 정권 선긋기
반 전 총장은 이날 개헌을 통해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를 동시에 치르자고 제안했다. 그는 이날 연합뉴스와 서면 인터뷰하면서 "국가를 통합하고 화해를 도모하려면 대선과 총선을 하루에 실시해야 한다"며 개헌을 통해 선거 주기를 맞추자고 주장했다. 대선과 총선을 함께 치르자는 그의 주장은 대통령 4년 중임제를 포함한 개헌과 맞물려 차기 대통령 임기 단축을 시사한 것이어서 주목된다.
▶2016년 12월 28일자 A1면 보도
그는 개헌에 대해 "정치교체를 위해 꼭 필요하다. 앞으로 새 시대에는 견제와 균형을 전제로 한 분권형 대통령제가 가장 바람직하다"면서 "개헌 시기는 이를수록 좋지만, 더불어민주당과 문재인 전 대표가 반대하고 있어 안타까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또 반 전 총장은 자신의 강점에 대해 "나는 이명박·박근혜 정권과 관련이 없는 정치 신인 중의 신인"이라며 "공장에서 바로 나와 좋은 냄새가 나는 가구와 같다"고 밝혔다. 반 전 총장은 '제3지대' 정계 개편을 주도할 의향이 있는지 묻자 "제3지대론은 이념에 빠진 양극단 세력을 제외한 분들이 힘을 합치자는 주장"이라며 "개혁적 보수와 합리적 진보가 위기의 대한민국을 위해 힘을 합쳐야 한다"고 긍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신헌철 기자 / 전범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블랙리스트 작성 중단 건의에도 朴대통령이.."
- 차은택 "김성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도 최순실 인사"
- 朴대통령측 39명 증인폭탄, 헌재 재판 지연작전?
- '응급실에 연예인 왔다' 알린 의사들, 중징계 처분
- "빚 독촉 때문에" 위조지폐 사용한 모녀 붙잡혀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