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공항에 얼굴 등 생체인식 시스템 '세계 최초' 도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호주공항들에 얼굴이나 홍채, 지문과 같은 생체인식 시스템이 올해부터 도입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호주를 찾는 관광객들은 세관검사 때문에 멈춰 서서 오랜 시간 기다리거나 직원을 마주할 필요가 없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호주 이민부는 올해부터 이런 생체인식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도입해 2020년까지는 여행객의 90%를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세관검사를 거치게 할 것이라고 호주 언론이 23일 보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드니=연합뉴스) 김기성 특파원 = 호주공항들에 얼굴이나 홍채, 지문과 같은 생체인식 시스템이 올해부터 도입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호주를 찾는 관광객들은 세관검사 때문에 멈춰 서서 오랜 시간 기다리거나 직원을 마주할 필요가 없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호주 이민부는 올해부터 이런 생체인식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도입해 2020년까지는 여행객의 90%를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세관검사를 거치게 할 것이라고 호주 언론이 23일 보도했다.
입국신고서가 폐지되고 승객 대부분이 여권을 제시할 필요가 없어지는 대신, 얼굴이나 홍채, 지문 등을 인식하는 전자 시스템이 그 자리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이민부는 오는 7월 캔버라 공항에서 뉴질랜드와 싱가포르 구간을 대상으로 우선으로 시범 적용하고 이어 11월까지 시드니와 멜버른 등 주요 공항들에 도입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호주 전략정책연구원(ASPI)의 국경안보 관련 전문가인 존 코인은 이 같은 시스템은 세계 최초가 될 것이라며 호주를 찾는 여행객들은 국내선 비행기를 이용하는 것처럼 공항을 빠져나올 것이라고 시드니 모닝헤럴드에 말했다.
이처럼 새로운 시스템이 도입되면 현재의 전자여권을 활용한 스마트 게이트(SmartGates)는 약 10년 만에 폐지된다.
이민부 관계자는 새 시스템이 들어서면 증가하는 안보 위협과 함께 늘어나는 승객 수요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호주 정부는 2015년에 향후 5년 동안 약 1억 호주달러(약 900억원)를 투입, 주요 공항과 항구에 차세대 자동 생체인증 시스템을 마련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호주 이민부는 2015-16회계연도(2015·7~2016·6)에 4천만명의 항공과 해상 여행객들을 처리했다.
cool21@yna.co.kr
- ☞ 한인 살해책임 경찰철장 사표반려한 두테르테 "전적 신뢰"
- ☞ 메트로 "화재사고 전동차 차내 대기 방송은 매뉴얼에 따른 것"
- ☞ 70대 회사 대표가 8개월동안 50대 여직원 성추행
- ☞ 배우 이재은이 7년간 엄마를 안 본 이유…"소녀가장 20년"
- ☞ 삼성전자, 특검수사 속 연봉 50% '성과급 잔치'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아파트 외벽 뚫고 1층 가정집으로 돌진한 승용차…2명 다쳐 | 연합뉴스
- 강간범 50명 공개재판 세운 佛 피해여성에 최고 훈장 | 연합뉴스
- 대전 가정집서 숨진 지 20여일 만에 발견된 모자…"생활고 추정" | 연합뉴스
- 김준호·김지민, 오늘 결혼…개그맨 25호 부부 탄생 | 연합뉴스
- 성관계 유도 후 "강간당했다"…수억원 뜯은 일당 단죄 | 연합뉴스
- "배달음식에 벌레" 305차례 환불…자영업자 울린 대학생 실형 | 연합뉴스
- 주한 외교관, 부산 지하철서 동성 강제추행 혐의로 조사 | 연합뉴스
- 시험 기간에 학부모와 전직 기간제 교사가 학교 무단침입 | 연합뉴스
- 킥보드 타고 횡단보도 건너던 5살 아동 승합차에 치여 숨져 | 연합뉴스
- 완주 계곡서 가족과 물놀이하던 8살 물에 빠져 사망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