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슈퍼박테리아 환자, 다인실에 방치..무방비 노출

구석찬 2017. 1. 22. 21:2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접촉 주의' 불감증..2차 감염 가능성도

[앵커]

항생제 내성균, 이른바 '슈퍼박테리아' 감염자 관리가 엉망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산의 한 대형병원에서 감염자를 일반 병실에 수용하고도 제대로 알리지 않은 건데요. 이 때문에 다른 환자와 간호 실습생까지 무방비로 노출이 됐습니다. 문제는 다른 병원에서도 이런 일이 드물지 않다는 겁니다.

구석찬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부산의 한 대학 간호학과에 다니는 A씨는 지난달 병원 실습 기간 중 60대 당뇨병 환자를 돌봤습니다.

그런데 간호를 시작한 지 사흘만에 이 환자가 메티실린을 포함한 상당수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는 MRSA 감염자라는 걸 알게 됐습니다.

지정감염병인 MRSA는 격리수용이 원칙이고, 피부 접촉만으로도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감염자를 돌볼 때 마스크와 장갑 착용이 필수입니다.

[간호 실습생 : (환자가) 피를 많이 흘려 침대 시트를 갈고 소변도 치우고요. 보호장구 없이…(병원에서) 주의하라고 말씀도 없으셨고요.]

취재진이 병원을 찾았을 때도 병상에 표시해둔 '접촉주의' 문구는 진료차트에 가려져 있었습니다.

MRSA 감염자에 노출됐던 의료진이 면역력이 떨어진 다른 환자와 접촉하면 쉽게 2차 감염이 일어납니다.

허술한 관리는 이 병원 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간호 실습생 : 친구들도 5개 병원 중에 3곳 정도에서 그런 경우를 (접했습니다.)]

병원감염 사례가 끊이지 않는 것도 이같은 허술한 감염병 관리와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