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닭의 해, 닭들의 수난을 지켜보며

남인숙 작가 입력 2017. 1. 22. 08:5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90년대에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을 방문했을 때였다.

적은 식구에 집에서 요리할 일이 많지 않은 데다, ‘비싸면 안 먹고 말지’ 하는 다짐을 채 굳히기도 전에 사태는 수습되기 일쑤였기 때문이다.

전엔 조류독감(AI)이라 해도 피해 농가와 치킨집 등 유관업종의 시름에 한정되었던 데 비해, 이번에 유독 온 국민이 조류와 함께 독감을 앓을 만큼 계란 난리가 난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90년대에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을 방문했을 때였다. 우리 일행은 체류기간 내내 ‘고려인’이라고 불리는 동포들의 집에 돌아가면서 묵게 되었다. 산딸기 잼과 주식빵, 그리고 그곳 접대 요리인 샤슬리의 맛을 잊을 수 없지만, 유독 기억에 남는 음식이 하나 있다. 바로 계란 프라이다. 모든 집에서 모든 끼니에 계란 프라이가 나왔다. 그때는 그저 ‘이곳에서는 계란 프라이가 김치 같은 것인가 보다’ 하고 어쭙잖은 추측을 할 뿐이었다. 이 먼 곳까지 와서 흔하디흔한 계란 프라이를 계속 먹는다는 게 내심 아쉽기도 했던 것 같다.

필자는 나중에야 그곳 계란이 손님이 올 때나 낼 수 있는 귀한 식재료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소고기가 지천이지만, 닭은 귀한 지역이었다. 그곳에서 평생을 산 집주인들에게 계란은 자신이 대접할 수 있는 최고의 음식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요즘 부쩍 계란이 귀해지면서, 그 시절 카자흐스탄의 고려인들 같은 마음을 품어야 계란 몇 개쯤 요리에 깨 넣을 수 있을 것 같다. 항상 식품류 파동이 일 때마다 언론에서나 시끄럽지 체감 고통은 크게 와 닿지 않았었다. 적은 식구에 집에서 요리할 일이 많지 않은 데다, ‘비싸면 안 먹고 말지’ 하는 다짐을 채 굳히기도 전에 사태는 수습되기 일쑤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에는 다르다.

ⓒ 시사저널 박정훈

많은 요리의 베이스가 되는 계란은 늘 냉장고에 구비되어 있는 공기 같은 존재였다. 당연히 있어야 할 것이 없어 급하게 인터넷 장보기 페이지를 열었더니 서른 개를 앉힌 판계란은 아예 판매 목록에 없다. 어처구니없는 가격의 열 개 들이 계란도 한 번에 하나 이상은 구매하지 못한다. 오늘은 한창 먹을 나이인 딸아이가 아쉬워하면서 이런 말을 했다. “간식으로 한 번에 네 개씩 계란 프라이 부쳐 먹고 그랬었는데, 지금은 한 개 해 먹는 것도 어려워요.”

먹고 싶으면 먹어도 괜찮다고 말해 주었는데도 아이는 찜찜한 표정으로 고개를 젓는다. 생활물가 같은 것과는 직접 관련 없는 뉴스나 좀 넘겨다보는 아이들까지 체감할 정도로 사태는 심각하다. 아니나 다를까, 알아보니 이번 조류독감 살처분 규모 자체가 예전과는 달랐다. 역대 최고치였던 2014년의 살처분 두수도 1396만 마리였는데, 이번에는 그 두 배가 넘는 3054만 마리다. 전엔 조류독감(AI)이라 해도 피해 농가와 치킨집 등 유관업종의 시름에 한정되었던 데 비해, 이번에 유독 온 국민이 조류와 함께 독감을 앓을 만큼 계란 난리가 난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그래도 입에 풀칠이나 하고 산다고 생각하는 필자가 느끼는 게 이럴진대, 하루하루 버티며 살아가야 하는 서민들의 삶은 어떻겠는가. 라면에 계란 하나 풀어 넣는 것도 두어 번 더 생각해야 하는 이들에게 이 겨울은 너무나 가혹하다.

예로부터 나라의 재앙은 나라님의 부덕에서 비롯된다고 여겼다. 자연재해나 역병처럼 당시 인간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일조차 그러했다. 하물며 온전히 천재지변이라고만 여길 수 없는 현대의 조류독감 파생 사태들을 지켜보면서 무정부 상태나 다름없는 ‘윗동네’의 어수선함과 관계가 없다고 생각하기가 더 힘들다. 닭의 해 벽두부터 절정이었던 닭들의 수난이 이제 무사히 끝나 주면 좋겠다. 그리고 해가 갈수록 잦고 독해져 가고 있는 조류독감이 현명한 ‘나라님’을 새로 만나 이 땅에서 그만 활개 치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외부 필자의 칼럼은 본지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남인숙 작가 sisa@sisapress.com <저작권자 ⓒ 시사저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시사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