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랑 끝 朴대통령, 헌재 출석 정면돌파? 기자간담회 우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회 탄핵소추로 직무정지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최후 변론’이 될 추가 메시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우선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오는 23일 신년 기자간담회를 가질 예정인데, 직무정지로 사실상 휴일밖에 시간이 없는 박 대통령이 이를 앞두고 자신의 입장을 밝힌다면 자칫 어색한 상황이 연출될 수도 있다.
현재로선 박 대통령 입장에서 추가 메시지를 내놓을 수 있는 방안은 헌재 출석과 지난 1일과 유사한 형식의 기자간담회뿐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국회 탄핵소추로 직무정지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최후 변론’이 될 추가 메시지를 놓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청와대는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이 속도를 높이고 박영수 특별검사팀 수사가 압박 강도를 더하면서 악화된 여론에 대응하기 위해 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입장을 표명하는 게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17일 “일부 언론 보도나 특검과 검찰의 논리는 아직 확인되지 않은 부분이 적지 않다”며 “법리적 다툼이 아닌 마녀사냥식 여론재판으로 흐르고 있는데 박 대통령이 나서야하지 않겠는가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다만 시기나 형식의 문제에 있어서 선택지가 많지 않다.
청와대는 애초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설 명절 밥상을 염두에 두고 설 연휴 이전에 추가 메시지를 내놓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부정적으로 돌아선 기류다.
우선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오는 23일 신년 기자간담회를 가질 예정인데, 직무정지로 사실상 휴일밖에 시간이 없는 박 대통령이 이를 앞두고 자신의 입장을 밝힌다면 자칫 어색한 상황이 연출될 수도 있다.
조기 대선이 가시화된 상황에서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등 유력 대선주자들의 행보에 시선이 쏠리는 시기라는 점도 부담스럽다.
형식적인 측면에서도 이것이다 할 만한 뾰족한 수가 보이지 않는다.
현재로선 박 대통령 입장에서 추가 메시지를 내놓을 수 있는 방안은 헌재 출석과 지난 1일과 유사한 형식의 기자간담회뿐이다.
어떤 형식이 됐든 박 대통령은 최순실 국정농단과 관련해 쏟아지는 의혹에 일일이 직접 소명하고 정상적인 국정운영 과정에서의 정책 결정이었다는 점을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헌재 출석은 자칫 공개 망신으로 역효과를 부를 수 있고, 기자간담회는 검찰과 특검 수사에는 응하지 않으면서 장외변론만 벌인다는 비판여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 부담이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만언론, 韓 여성 성폭행 혐의 택시기사 얼굴 공개
- '금발' 하리수 "사랑해" 무한애교..그보다 변신 소름
- 여학생 성기 만졌는데도 무혐의..여성단체 시위
- 문재인 "군 복무 1년까지 단축가능" 젊은표심 공략
- '반기문 퇴주잔' 검색어 왜 사라졌나? 의혹 증폭
- “김마리아가 누구야?”…송혜교, 또 나섰다
- “만점 받아도 의대 어렵다” 국·수·영 다 쉬운 수능에 입시 ‘혼란’ 예고
- ‘여직원 성폭행 논란’ 김가네 회장…‘오너 2세’ 아들이 사과하고 ‘해임’
- 김소은 '우결' 남편 故송재림 추모…"긴 여행 외롭지 않길"
- [단독] 사생활 논란 최민환, ‘강남집’ 38억에 팔았다…25억 시세차익 [부동산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