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 노 전 대통령 장례 답례편지 주려 했는데 안 만나줘"

김태규 2017. 1. 16. 11: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장례 뒤 유엔 본부에 답례편지를 들고간 노 전 대통령 쪽 인사를 반기문 총장이 6일 동안 기다리게 하고 만나지 않은 사실이 밝혀졌다.

참여정부 청와대에서 일했던 박선원 전 통일외교안보전략 비서관은 16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 인터뷰에서 "(노 전 대통령 장례 끝나고) 해외정상급 인사들께서 직접 오신분도 계시고 조전을 보내주신 분도 계시기 때문에 권양숙 여사님 명의로 답례편지를 보내는 일을 제가 맡았다"며 당시 반 총장과의 일화를 공개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선원 전 비서관 '김어준의 뉴스공장' 인터뷰
"뉴욕서 6일 기다려..결국 직원에 전달" 발언
"'인연에 얽매이면 안된다'며 장의위원장 거절"
"박연차 사건 관련돼 곤란한 처지 아니었을까"

[한겨레]

2006년 10월24일 노무현 대통령 내외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 당선자를 청와대로 초청해 축배를 드는 모습. 청와대 사진기자단.

노무현 전 대통령 장례 뒤 유엔 본부에 답례편지를 들고간 노 전 대통령 쪽 인사를 반기문 총장이 6일 동안 기다리게 하고 만나지 않은 사실이 밝혀졌다.

참여정부 청와대에서 일했던 박선원 전 통일외교안보전략 비서관은 16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 인터뷰에서 “(노 전 대통령 장례 끝나고) 해외정상급 인사들께서 직접 오신분도 계시고 조전을 보내주신 분도 계시기 때문에 권양숙 여사님 명의로 답례편지를 보내는 일을 제가 맡았다”며 당시 반 총장과의 일화를 공개했다. 박 전 비서관은 “제가 당시 워싱턴에 살았기 때문에 뉴욕(유엔 본부)에 김원수 사무부총장에게 전화를 해서 ‘권 여사님께서 반 총장님께 그래도 답례편지를 전달하라고 해서 내가 휴대하고 있으니 전달하러 가겠다’ 이렇게 말씀을 드렸다”며 “김원수 부총장이 ‘워싱턴에서 뉴욕으로 올라와서 대기하라’고 했다. ‘시간나면 10분, 15분 정도 반 총장을 뵙게 해 주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뉴욕에 도착해 호텔에 머문 박 전 비서관은 그러나 “(김원수 부총장이) 자꾸 차일피일 ‘몇 시 될 거 같다, 하루 더 기다려라’ 이렇게 하시기 때문에 6일 동안 계속 기다렸다”며 “그래서 결국 (유엔 본부의) 이상아 과장인가 국장한테 (답례편지를) 전달하고 왔던 기억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반 총장이) 제가 전달을 안 하고 알아서 내려가길 기다리신 것 같다”고 덧붙였다.

박 전 비서관은 “너무도 잘못된 정치적 환경에서 대통령이 억울하게 돌아가셔서 국내에 계신 분보다는 반 총장이 장의위원장을 맡아줬으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김원수 부총장을 통해 요청했는데 “유엔 총장은 개인의 인연이나 이런 데 얽히면 안 된다”는 답이 돌아왔다고 밝혔다. 참여정부 시절 외교부 장관이었던 반 총장을 전직 장관들과 함께 장의위원에 포함시키겠다는 제안도 거절했다고 한다. 박 전 비서관은 “(조전은) 다른 분들이 부탁한 모양인데 다 거부하시는 마당에 너무 비참한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 반 전 총장은 노 전 대통령 쪽의 거듭된 요청에 장의위원회에 고문으로 이름을 올렸다고 한다. 반 총장은 노 전 대통령 서거로부터 2년6개월 만인 2011년 11월 봉하마을을 방문했는데 “공개하지 말아달라”고 해서 “뭐가 그렇게 가려야 되는 건지 도무지 이해가 안 갔다”고 박 전 비서관은 말했다.

박 전 비서관은 반 전 총장이 노 전 대통령의 죽음을 외면한 이유를 “아마 박연차 회장 사건과 관련이 있지 않나 이런 생각”이라고 했다. 박 전 비서관은 “그분이 명예로 살고 나름대로 의전 중시하고 하는 분인데 왜 저럴까 도무지 이해를 못 했는데 이제는 이해가 된다”며 “MB정부 입장에서는 유엔 사무총장이 여기(노 전 대통령 장례식)에 참석하게 되면 불을 지를 수 있으니까 차단하려고 정권에서 노력했을 것이고 그게 먹혔던 이유는 박연차 하고 관련있지 않겠냐”고 말했다. 박 전 비서관은 “(노무현 전) 대통령께서 2009월 5월23일 서거하셨으니 반기문 총장이 박연차씨한테 돈을 받았다는 진술이 나왔다면 그전에 나왔을 것”이라며 “MB정권 검찰에 포로가 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곤란한 처지 아니셨겠냐. 제 추측이지만 저는 그 추측할 권리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 정치BAR 페이스북 바로가기
◎ 정치BAR 텔레그램 바로가기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신문구독][주주신청]
[페이스북][카카오톡][정치BAR]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