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한푼도 안받아..어떤 이권인지 말해달라 " 언성 높여

김민경 현소은 2017. 1. 16. 11:2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대통령 탄핵심판 5차변론 출석 '국정농단' 전면 부인
"청와대 문서 본 적 없어..연설문만 조금 수정" 인정
"옷값 지급·청 방문, 사생활이라 말못해" 모르쇠 일관

[한겨레]

박근혜 대통령 정부 비선실세로 지목된 최순실씨가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박 대통령 탄핵심판 사건 5차 공개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박근혜 대통령 탄핵심판에 증인으로 나온 최순실씨가 탄핵 소추 사유가 된 ‘국정농단’을 전면 부정했다. 최씨는 “정부로부터 어떤 이권을 받은 적도 없고 대통령도 그럴 분이 아니다”라며 되레 국회 소추위원 대리인단에게 “어떤 이권인지 구체적으로 말해달라”고 쏘아붙였다.

16일 오전 10시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박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한 최씨는 박 대통령을 통해 이권을 추구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최씨는 “미르재단이나 어디를 통해 한 푼도 받은 게 없다. 개인 이득 취한 게 하나도 없다”고 말했다. 국회 소추위원 대리인이 “증인과 박 대통령은 대통령 취임 뒤 문화융성과 스포츠 내세워 이권을 도모하려고 한 게 아니냐”고 묻자 최씨는 “어떤 이권인지 구체적으로 말해달라. 어떤 이권도 정부로부터 받은 적이 없고 대통령도 그런 분이 절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최씨는 미르나 케이(K)스포츠 재단 설립도 정당했다고 주장했다. 최씨는 두 재단 설립 과정에 개입한 사실은 부정하면서 “대통령께서 문화체육 통해 돈 없고 힘든 학생들 올림픽 내보내고, 문화가 세계를 지배하는 때라며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것을 들은 적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씨는 “2015년 7월 10대 대기업에서 30억씩 출연금을 받아 (재단을) 설립하는 보고서를 만들라는 지시를 받았다” 고영태 전 더블루케이 이사의 증언은 “완전한 조작”이라고 비판했다.

청와대 문서 유출도 부정했다. 최씨는 대통령 연설문의 표현을 고친 적은 있지만 고위직 인사 등 공무상 기밀이 담긴 문건은 보지 않았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최씨는 “다른 건 본 적이 없고 관심도 없고 연설문의 감성적 표현만 봤다”며 “(고위 공무원 인사 자료는) 본 적이 없다”고 답했다. 고위직 인사 관련 문서 전달이 “의견을 묻기 위한 것이 아니냐”는 국회 소추위원 대리인의 질문에 최씨는 “전혀 관여하고 싶지도 않고, 주변에 그런 사람도 없고, 관여하고 싶지도 않다”고 잘라 말했다. 정호성 전 청와대 부속비서관의 녹음 파일이나 구글 지메일, 태블릿피시에서 최씨가 청와대 문서들을 봤다는 증거가 나왔지만 최씨는 이를 부정했다. 최씨는 녹취록은 “일정 부분만 따서 언론에 나온 거 같은데 전후 사정이 어떤지 이해가 안 간다. 내가 다 주도한 거로 얘기하지만 대통령 정책 철학으로 정해진 것이다”고, 메일 등은 “검찰이 전부 보여주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최씨의 ‘모르쇠’에도 국회 대리인의 추궁이 이어지자 최씨는 “내가 국정을 대통령과 상의해서 이끌어 간 것처럼 말하는데 단순 의견만 피력했지 그럴 이유가 없다. 재판관님들 다 계시지만 정말 억울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최씨도 탄핵심판 증인으로 출석한 윤전추·이영선 청와대 행정관처럼 대부분의 질문에 “기억나지 않는다”, “모른다”, “말하기 곤란하다”고 답했다. 최씨는 “청와대에 출입한 적이 있다”고 답했지만 횟수는 “기억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출입 이유도 “대통령의 개인적인 일을 도와드리기 위해 (청와대)에 들어갔다”면서도 개인적인 일이 무엇인지는 “사생활이라 말하기 곤란하다”고 답했다. 박 대통령의 뇌물죄 혐의와 이어질 수 있는 옷값 지급도 마찬가지였다. 최씨는 “대통령에게서 옷값을 받은 기억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단호하게 “네”라고 답했지만, 이 역시 어떻게 받았는지 얼마나 자주 받았는지는 “개인적 사생활이라 얘기할 수 없다”거나 “말하기 곤란하다”고 답했다.

김민경 현소은 기자 salmat@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신문구독][주주신청]
[페이스북][카카오톡][정치BAR]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