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유엔이 쥐고 있다..반기문을 향한 양날의 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대통령 출마와 관련해 반 전 총장은 "유권적인 답변은 유엔 당국에서 할 것"이라고 말함에 따라 유엔의 입장에 관심이 모아진다.
유엔 창설 직후인 1946년 1월 24일 열린 제1차 총회에서 유엔은 유엔 사무총장 임기 만료 후 정부 직책을 만드는 것에 대해 제한하는 11호 결의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대통령 출마와 관련해 반 전 총장은 “유권적인 답변은 유엔 당국에서 할 것”이라고 말함에 따라 유엔의 입장에 관심이 모아진다.
유엔 창설 직후인 1946년 1월 24일 열린 제1차 총회에서 유엔은 유엔 사무총장 임기 만료 후 정부 직책을 만드는 것에 대해 제한하는 11호 결의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11호 결의안에 대해 유엔이 어떤 유권 해석을 내리느냐가 반기문 전 총장을 위한 칼이 될 수도 있고, 반 전 총장을 향한 칼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11호 결의안은 “유엔 사무총장은 다수 정부의 신뢰자이기 때문에 어떤 회원국도 그의 퇴임 직후에 그가 보유한 비밀 정보가 다른 회원국의 불쾌함의 원인이 될 수도 있는 어떤 정부의 직책도 그에게 제안하지 않으며, 사무총장 자신도 그러한 직의 수락을 삼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이를 액면 그대로 해석하면 반 전 총장이 사무총장 퇴임 직후 한국의 대통령직에 출마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반 전 총장은 “저의 어떤 정치적인 행보를 막는 그런 조항은 아니다”라고 한 뒤 “제가 출마를 하겠다 이런 발표를 한 것은 아니다”라며 논란을 비껴갔다.
반 전 총장의 발언은 유엔 11호 결의안이 대통령 출마를 제한하는 의미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지만, 강제 조항은 아니라는 주장으로 해석된다.
전례를 따져볼 때, 역대 유엔 사무총장 7명 중 퇴임 후 대선에 출마한 사람은 쿠르트 발트하임 전 총장(오스트리아)과 하비에르 페레스 데 케야르 전 총장(페루) 등 2명이다.
유엔 11호 결의안은 사무총장 퇴임 직후 대선 출마하는 것을 삼가하고 있다.
실제로 발트하임은 퇴임 후 5년, 케야르는 4년 후 출마했다.
그와 반대로 반 전 총장은 퇴임 직후 대통령에 출마할 예정이어서 더욱 논란이 된다.
결국 유엔의 유권해석에 따라 반 전 총장의 대선 출마가 가려지는 초유의 사태가 초래됐다.
soohan@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潘, 방명록 '베껴쓰기' 시끌..정확성? 성의부족?
- "고영태, 울면서 태국서 전화 '살려달라'"
- 박원순 "문재인 공격 너무 나가..본심은 안그래"
- 손헤원 "고영태, 더이상 세상에 나서기 싫어해"
- "정유라를 송환하라" 덴마크·스웨덴 교민 촛불시위
- “김마리아가 누구야?”…송혜교, 또 나섰다
- “만점 받아도 의대 어렵다” 국·수·영 다 쉬운 수능에 입시 ‘혼란’ 예고
- ‘여직원 성폭행 논란’ 김가네 회장…‘오너 2세’ 아들이 사과하고 ‘해임’
- 김소은 '우결' 남편 故송재림 추모…"긴 여행 외롭지 않길"
- [단독] 사생활 논란 최민환, ‘강남집’ 38억에 팔았다…25억 시세차익 [부동산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