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대선, 60대 유권자수 처음으로 1000만 넘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는 대선에서 투표권을 행사하는 유권자수가 처음으로 10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헤럴드경제가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을 통해 지난 16대 2016년 말까지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의 인구자료를 통해 유권자 수를 살펴본 결과(19세 제외), 60세이상 유권자는 1117만4714명으로 집계돼 역대 대선중 가장 많은 수를 기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박병국 기자] 오는 대선에서 투표권을 행사하는 유권자수가 처음으로 10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헤럴드경제가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을 통해 지난 16대 2016년 말까지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의 인구자료를 통해 유권자 수를 살펴본 결과(19세 제외), 60세이상 유권자는 1117만4714명으로 집계돼 역대 대선중 가장 많은 수를 기록했다. 60대 유권자가 1000만명을 넘은 것은 이번 대선이 처음이다.
인구고령화로 60대 이상 유권자수는 매년 증가해 15대(1997년) 458만8421명이었다가, 16대(2002년) 622만3536명, 17대(2007년) 747만3115명, 18대(2012년) 919만5120명 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전체 유권자중 60대가 차지하는 비중도 매년 늘고 있다. 15대때 전체 유권자중 14.47%를 차지했던 60대 이상 유권자 수는 매년 늘어들어 19대 대통령 선거를 앞둔 2016년 말기준으로 26.18%까지 늘어났다.
지난 대선에서 큰비중을 차지했던 ‘3040’세대도 오는 대선에서는 ‘4050’세대로 옮겨갔다. 40대가 여전히 전 유권자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지만, 2위가 30대에서 50대로 바뀐 것이다. ), 지난해 말 기준으로 40대 유권자 비중이 전체 4267만7271명 중 21.04%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20.16%로 그 뒤를 이었다. 50대가 1~2위권에 진입한 건 역대 처음이다.
17대 대선에선 30대 유권자 수(23.18%)가 1위, 40대(22.85%)가 2위였고, 18대 대선에선 순위만 바뀐 채 40대(22.10%)가 1위, 30대(20.79%)가 2위였다.
cook@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潘, 방명록 '베껴쓰기' 시끌..정확성? 성의부족?
- "고영태, 울면서 태국서 전화 '살려달라'"
- 박원순 "문재인 공격 너무 나가..본심은 안그래"
- 손헤원 "고영태, 더이상 세상에 나서기 싫어해"
- "정유라를 송환하라" 덴마크·스웨덴 교민 촛불시위
- “김마리아가 누구야?”…송혜교, 또 나섰다
- “만점 받아도 의대 어렵다” 국·수·영 다 쉬운 수능에 입시 ‘혼란’ 예고
- ‘여직원 성폭행 논란’ 김가네 회장…‘오너 2세’ 아들이 사과하고 ‘해임’
- 김소은 '우결' 남편 故송재림 추모…"긴 여행 외롭지 않길"
- [단독] 사생활 논란 최민환, ‘강남집’ 38억에 팔았다…25억 시세차익 [부동산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