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朴 대통령 관저근무는 근무지 이탈..해명 필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회가 박근혜 대통령의 '관저 근무'가 법적 근거가 없는 근무 형태라고 주장한 의견서를 헌법재판소에 제출했다.
1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인 권성동 소추위원은 박 대통령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을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박 대통령은 근무장소 이탈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 측은 관저에도 본관 집무실과 똑같은 기능의 집무실이 있으며 대통령 업무의 특성상 관저 근무를 재택근무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한진주 기자] 국회가 박근혜 대통령의 '관저 근무'가 법적 근거가 없는 근무 형태라고 주장한 의견서를 헌법재판소에 제출했다.
1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인 권성동 소추위원은 박 대통령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을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박 대통령은 근무장소 이탈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권 위원은 "공무원이 유연근무제, 탄력근무제를 하려면 다 법적 근거가 있다"며 "그런데 박 대통령의 경우 법률적 근거 없이 재택근무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평소 특별한 외부 일정이 없으면 관저에 있는 업무 공간에서 일을 한다고 밝혀왔다. 세월호 참사 당일에도 관저에 계속 머물러 논란이 됐다.
박 대통령 측은 관저에도 본관 집무실과 똑같은 기능의 집무실이 있으며 대통령 업무의 특성상 관저 근무를 재택근무로 볼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국회 측은 12일 헌법재판소에 낸 의견서에서 박 대통령의 해명을 지시해달라고 요청했다.
국회 측은 "국가공무원인 대통령은 다른 법적 근거가 없는 한 근무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자택이나 관저가 아닌 공무소로 출근해 근무해야 할 의무가 있다"며 "대통령은 관저에서 취침과 휴식 등 일상생활을 하지만 일과시간에는 집무실이 있는 본관에서 직무를 수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박 대통령의 관저근무는 탄핵소추 사유 중 '성실직책 수행의무'를 위배하는 중요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장암 피하려면 먹지마"…술·담배와 동급이라는 '이것' - 아시아경제
- "집에 간 尹 부부에 꽃다발 준 주민, 안보실 1차장 모친이었다" - 아시아경제
- "입에서 입으로 '러브샷 강요'"…대학 신입생 MT서 무슨 일이 - 아시아경제
- "전·현직 신부와 결혼해요"…단체사진 넣고 청첩장 뿌렸다가 中 발칵 - 아시아경제
- "5초 법칙 믿었는데"…바닥에 떨어진 음식, 1초 만에 세균 '득실' - 아시아경제
- "와! 한국 진짜 망했군요"…외신도 경악한 '7세 고시' 결국 - 아시아경제
- 100g 골드바 삼킨 中 소년…화장실서 내보내려다 결국 - 아시아경제
- '군면제' 대선주자 이재명·김경수·김문수…사유 살펴보니[대선주자와 병역][AK라디오] - 아시아
- "갑자기 몸이 가려워"…발칵 뒤집힌 대학 기숙사 무슨 일? - 아시아경제
- 팬·지인에 3700만원 빌리고 안갚아…'사기혐의' 티아라 아름 1심 유죄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