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위안부 합의 환영" 반기문 과거 발언 도마에
[경향신문] ㆍ작년 새해 인사 땐 박 대통령에 “역사가 높게 평가할 것”
ㆍ일 ‘소녀상’ 공세로 국민 분노…귀국 시점에 부메랑으로
부산 위안부 소녀상 설치 문제로 2015년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한 한·일 합의의 문제점이 다시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유력 대선주자인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73·사진)의 과거 위안부 발언이 도마에 올랐다.
반 전 총장은 위안부 합의가 이뤄진 직후인 2015년 12월28일(현지시간) 유엔 홈페이지를 통해 성명을 내고 “한국과 일본이 맺은 위안부 합의를 환영한다”며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리더십과 비전에 감사한다”고 밝혔다. 반 전 총장은 또 지난해 초 박 대통령과 신년 인사차 전화통화를 하면서 “대통령이 비전을 갖고 올바른 용단을 내린 데 대해 역사가 높게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일 간 어려운 관계가 지속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에 비추어, 국교 정상화 50주년의 해가 가기 전에 이번 협상이 타결된 것을 매우 다행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당시 야당과 시민사회는 이 같은 반 전 총장의 위안부 합의 관련 입장에 반발하면서 반 전 총장과 박 대통령의 정치적 관계에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논란이 커지자 반 전 총장은 지난해 3월 유엔을 방문한 위안부 피해자 면담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한·일 정부의 노력을 환영한 것이지, 합의 내용 자체를 환영한 것이 아니었다’는 취지로 해명했다.
유엔 사무총장으로서의 입장이었다는 것이다. 또 반 전 총장 측근들도 박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 대해 “신년 덕담 수준의 발언이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 발언은 유엔 사무총장에서 정치인으로 변신한 반 전 총장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특히 소녀상 문제로 위안부 합의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재점화되고 있는 데다 ‘정치인 반기문’의 귀국 시점과 맞물리면서 이 발언은 반 전 총장의 정치행보에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9일 한국 출신 유엔 사무총장이 이 같은 발언을 한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비난하면서 “12일 귀국할 때 이 문제에 대해 직접 해명하라”고 압박했다.
<유신모 기자 simo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일 대사 '소녀상 설치 항의' 일시 귀국..'합의' 서명한 한국 정부는 '묵묵부답'
- "아베 정권, 소녀상 관여 말고 일본에 '반성의 상징물' 세워야"
- '위안부 백서' 못 내고 '보고서'로 강등 발간
- 대선 이슈로 옮겨붙은 '외교참사'..사드 배치 여·야 '대척점'
- 국힘 김미애, 장제원 겨냥 “누구든 돈과 권력으로 범죄 저질러선 안돼”
- ‘위헌’ 마은혁 미임명은 놔두고···문형배·이미선 후임 지명 요구한 여당
- “민중이 방심하면, 윤석열 같은 독버섯 생겨” 깨달음 얻었다는 소설가 현기영
- ‘서부지법 난입’ 혐의로 기소된 다큐 감독은 왜 무죄를 주장하나
- 윤건영 “검찰, 윤석열 구속취소 전후 문재인 전 대통령에 2차례 소환 요구”
- [속보]한화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 아들 증여…경영승계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