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처분 32.9% vs 1.1%..AI 참사 부른 밀집사육
친환경 농장 피해는 1곳뿐
공장식 사육방식으론 한계
"AI 대응에 수천억 쓰느니
친환경 양계로 전환 도와야"
32.9% 대 1.1%. 어떤 방식으로 키웠느냐에 따라 AI에 대한 저항력은 달랐다. 기존의 살처분 방식과 방역체계로는 해마다 독해지는 AI를 차단하는 데 한계가 있다. 올해 AI 확산이 그 방증이다. 가축 감염병 확산에 취약한 공장식 밀집 사육과 원가 낮추기 경쟁을 반복하면 AI 대란은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는 지적한다.
━
친환경 땐 닭값 급등…“비싼 국내산, 값싼 수입산 이원화를”
장형관 전북대 수의학과 교수는 “방역을 제대로 못한 게 1차 원인이지만 대량 밀집 사육 환경 때문에 AI가 빠른 속도로 퍼졌다”며 “친환경 사육을 한다고 AI 발생 자체를 막을 수는 없지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6일 AI 발생 이후 3일까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살처분 보상금으로만 2300억원(닭·계란·오리 등 가금류 합산)을 지급했다. 2003년 첫 AI 발생 이후 지금까지 닭 살처분 보상금 등으로 들어간 돈은 총 8500억원이 넘는다. 여기에 매몰 비용, 방역 비용 등을 더하면 최소 1조원 이상이 들어갔다. 국민 1인당 2만원 정도 부담한 셈이다.
사실상 매년 수백억~수천억원의 예산을 살처분 등에 투입하기보다는 친환경 동물복지형 농장 지원에 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종인 강원대 농업자원경제학과 교수는 “단순히 동물학대 금지가 아니라 국내 소비자 건강을 위협하는 감염병 예방 차원에서 양계산업을 친환경 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걸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문제는 가격이다. 친환경 사육으로 산업 체계를 바꾸면 닭과 달걀 가격이 비싸질 수밖에 없다. 최농훈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비싼 국내산과 값싼 수입산으로 가격을 자연스럽게 이원화해야 한다”며 “점점 친환경 사육 비중을 높이는 장기 플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조현숙 기자, 세종=이승호 기자 newear@joongang.co.kr
▶ 더 세진 알파고 60전 60승 ···고수들 줄줄이 패한 이유는
▶ "중국 국민, TV서 한국 아이돌 보면 역감정"
▶ 반기문발 정계 개편 시나리오···김종인과 연대 1순위?
▶ "지난해 10월 우병우 '최순실 죄가 안됨' 보고서 의견"
▶ "정윤회, 대통령 이성이라 넘을 수 없는 선 있다 밝혀"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EU '밀집사육' 2012년 법으로 금지..13년간 AI 발생 영국 3건, 스웨덴 1건
- 살처분 비용 등 1조, 그 돈 미리 친환경 사육 지원했다면..
- '트럼프노믹스' 훈풍이었나..日 닛케이 지수, 9개월 만에 1만8000선 근접
- AI 백신 처방도 이미 늦었다
- AI 확산 '제2 메르스 사태' 될라
- "오빠폰에 몰카" 與의원실 비서 여동생이 신고
- 김환기에 이우환까지···300억 경매 나온다
- 은지원, 제주 카페서 6명 모임 논란···"반성"
- '슬의생'이 '슬의생' 했나···장기기증 등록 11배로
- 26살 아이콘 바비 다음달 아빠 된다,깜짝 결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