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읽다]오래자면 치매 위험 높다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뭐든 적당한 게 좋은 것일까요. 너무 오래자면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하루 수면시간이 8~9시간 이상인 사람을 7~8시간 수면하는 사람과 비교했을 때 인지장애는 38%, 치매 위험성은 42% 정도 높게 나타났습니다.
명승권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관리정책학과(가정의학과 전문의) 교수팀은 2009년부터 2016년까지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수면시간과 인지기능 저하와 관련성을 알아본 10편의 관찰역학 연구를 종합했습니다. 메타분석을 통해 수면시간의 인지장애와 치매 위험성을 분석했습니다.
주요 의학데이터베이스인 펍메드(PubMed)와 엠베이스(EMBASE)의 문헌검색을 통해 최종적으로 10편(환자-대조군연구 3편, 코호트연구 7편)의 관찰역학 연구결과(총 5만3942명 대상자)를 메타분석했습니다. 하루 수면시간이 8~9시간 이상인 사람은 7~8시간인 사람에 비해 인지장애, 치매 위험성이 각각 38%(교차비 혹은 상대위험도 1.38, 95% 신뢰구간 1.23~1.56), 42%(교차비 혹은 상대위험도 1.42, 95%신뢰구간 1.15~1.77)만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성별, 지역별, 긴 수면시간 정도(8시간 이상, 9시간 이상, 10시간 이상), 나이, 연구의 질적 수준과 연구디자인(환자-대조군연구, 코호트연구)별 세부그룹 메타분석 결과 역시 일관되게 긴 수면시간은 치매와 인지장애 등 인지기능 감소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명교수는 "치매는 다양한 원인으로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기억력, 언어능력, 시공간 파악능력, 사고, 행동 등과 같은 전반적 인지기능이 떨어져 일상생활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는 임상증후군"이라며 "알츠하이머병이 대표적인데 주로 65세 이상에서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의 생활습관병과 흡연, 음주, 운동부족, 영양부족 등이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그동안 잠을 너무 적게 자거나 또는 너무 많이 자면 치매와 같은 인지기능 감소 위험성이 높다는 개별 관찰연구들이 발표됐었다"며 "이번 연구는 개별 관찰연구를 종합한 첫 연구로 긴 수면시간은 경도 인지장애와 치매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규명됐다"고 말했습니다.
그 원인에 대해 명 교수는 "긴 수면시간과 인지장애의 관련성에 대한 이유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는데 생물학적으로 봤을 때 잠을 오래 자면 염증 관련 생체지표가 증가한다는 보고가 있었다"며 "뇌에서 염증반응을 촉진해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치매가 발병할 수 있다는 가설 등이 제기됐다"고 분석했습니다. 명 교수는 "잠을 오래 자는 것은 인지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질병 때문이거나 단순히 인지장애의 초기 증상일 가능성도 있다"고 전제했습니다.
한편 지난해 2월 미국 국립수면재단(National Sleep Foundation)은 나이에 따른 적정 수면시간을 새롭게 발표한 바 있습니다. 어린이의 경우 적정수면시간 범위 중 하한 값을 1시간 정도 낮춘 것이 눈에 띕니다. 기존에 초등학생의 경우 10~11시간 수면시간이었는데 이를 9~11시간으로 줄였습니다. 26~64세 성인의 경우 7~9시간, 65세 이상의 경우 7~8시간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명 교수는 "앞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는데 이번 연구 결과를 보면 치매예방을 위해 적정수면시간의 범위 중 높은 값을 1시간 정도 낮추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은 끝났다…아마 돌이킬 수 없을 듯" 섬뜩 경고 날린 2380만 유튜버 - 아시아경제
- 2000만t 희토류 '잭팟' 터졌다…단숨에 세계 3위된 이곳 - 아시아경제
- 월급 안 부럽네… 월 500만원씩 따박따박 국민연금 받는 부부 첫 탄생 - 아시아경제
- "맨발로 팬티 입으면 피부병 생긴다"…이유가 뭐길래 - 아시아경제
- "월급 실화?""휴일도 출근?"…입사 첫날부터 관두는 日 직장인들 - 아시아경제
- 1500원짜리 커피 팔아 스타벅스 추월…작년 영업익 1000억 돌파했다 - 아시아경제
- "싸구려 취급 더는 못 참아"…'지브리 프사' 인기에 분노 폭발한 日감독 - 아시아경제
- "행운 온다" 너도 나도 쓱쓱…동상 가슴 훼손에 칼 빼든 도시 - 아시아경제
- "아이폰 333만원 된다"…트럼프 관세폭탄 최악 전망 - 아시아경제
- 동물단체 반발 속 "곰 350마리 없애겠다"…이유를 들어보니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