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어법' 조어능력 결핍..드라마서 배운 저급 단어 사용"

김인구 기자 입력 2017. 1. 3. 11:00 수정 2017. 1. 3. 11: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말 ‘박근혜의 말’(원더박스)을 펴내 주목받은 최종희(사진) 언어와생각연구소 공동대표가 지난 1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기자간담회 내용을 토대로 박 대통령의 말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최 대표는 3일 "기본적으로 만연체여서 주어와 목적어가 자주 분실되거나 뒤섞이는 바람에 어법이 맞지 않는 ‘연상지체’ 현상을 보인다. 더구나 자신은 오류가 없다는 착각에 빠져 도무지 사과할 줄을 모른다"며 박 대통령의 발언 내용을 조목조목 분석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최종희 언어연구소 대표, 신년 기자간담회 ‘박근혜의 말’ 비판



“朴대통령 말은 사과할 줄 모르는 ‘오발탄’ 어법”

주어와 목적어 없거나 뒤섞여 어법 안맞는 ‘연상지체’ 현상

“박근혜 대통령의 말은 사과할 줄 모르는 ‘오발탄’ 어법이다.”

지난해 말 ‘박근혜의 말’(원더박스)을 펴내 주목받은 최종희(사진) 언어와생각연구소 공동대표가 지난 1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기자간담회 내용을 토대로 박 대통령의 말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최 대표는 3일 “기본적으로 만연체여서 주어와 목적어가 자주 분실되거나 뒤섞이는 바람에 어법이 맞지 않는 ‘연상지체’ 현상을 보인다. 더구나 자신은 오류가 없다는 착각에 빠져 도무지 사과할 줄을 모른다”며 박 대통령의 발언 내용을 조목조목 분석했다.

최 대표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불필요한 부사어를 애용하는 버릇을 드러냈다. “뭐 이렇게” “굉장히” “또” 같은 말을 반복적으로 사용했다. 만연체의 단점이고, 어휘력과 논리적 조어 능력이 결핍된 사람들에게 흔히 드러나는 현상이라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또 TV 드라마를 통해 배웠을 법한 저급한 단어를 수시로 썼다. “뒤로 받고 그런 것” “확 그냥” 등 일상 속에서도 잘 쓰지 않을 말들을 여과 없이 보여줬다. 미리 준비된 원고나 수첩이 없는 자유로운 질의 응답 시간에 특히 이런 경향이 두드러졌다.

말이 길어진 나머지 주어와 목적어, 또는 서술어가 꼬이는 일도 많았다. “정부시책으로 잘 펴 보자, 그리고 또 특히 그런 문화 쪽이나 창업할 때 어려운 처지에 있는 젊은이들이 많이 있잖아요”처럼 문장의 앞뒤가 어색하게 연결되는 경우가 있었다.

심정적 표현을 할 때는 앞뒤가 맞지 않는 어법이 더욱 심해졌다. 최 대표는 “전혀 별개의 사안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끌려 나오듯 제시되어 듣는 이들이 무슨 얘기를 어떻게 하고 있는지 쉽게 알아들을 수 없다”면서 “이는 말하는 이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냉철하게 객관화시켜 바라볼 능력이 없거나, 중립적으로 표현할 능력이 없을 때, 주관적으로 경도되어 심정적 표현에 의존하게 될 때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최 대표는 ‘박근혜의 말’에서 박 대통령의 만연체 어법이 흔히 ‘근혜체’로 불린다며 6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이들 유형은 말 실수인 ‘오발탄 어법’, 우주·정성·혼·기운 등 일반인들이 자주 쓰지 않는 단어를 쓰는 ‘영매 어법’, 공주처럼 살아온 인생 경험에서 오는 ‘불통 군왕 어법’, 대중을 속이는 언어 성형 정치인 ‘피노키오 공주 어법’, 사과할 줄 모르는 ‘유체이탈 어법’, 고상함 속에 숨어있는 ‘전화통 싸움닭 어법’ 등이다.

김인구 기자 clark@munhwa.com

[ 문화닷컴 바로가기 | 소설 서유기 | 모바일 웹]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