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사] 김성기 가평군수

이상휼 기자 2017. 1. 1. 17:1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안전도시 가평' 실현을 위한 제언
김성기 가평군수 © News1

(가평=뉴스1) 이상휼 기자 = 혼돈과 격정의 병신년(丙申年)이 가고 정유년(丁酉年) 새해를 열어가는 시점에서 ‘안전도시 가평’을 지향하며 달려왔던 한해를 되돌아보는 시간을 통해 오늘을 반성하고 내일의 희망을 간직하고 싶습니다.

허버트 윌리엄 하인리히(Herbert William Heinrich)는 1931년 펴낸 '산업재해 예방: 과학적 접근'이라는 책에서 '1:29:300법칙'을 밝히고 있습니다.

즉 대형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그와 관련된 수많은 경미한 사고와 징후들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작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원인을 해결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재난 수준으로 대형화된다는 것입다.

현대 재난의 특징은 대형화·복잡화·빈번화·비정형화된다는 점입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도시화에 따라 인구과밀로 인한 재난취약요소가 증대하고,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재난대비·대응에 취약합니다. 또 최근 들어 태풍·홍수·산사태 등과 같은 재난발생이 급증하고 있으며 재난유형이 다양화되고 규모면에서도 대형화·복잡화되는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올해는 유달리 많은 재난이 발생했으며 우리 군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지난 7월 5일과 6일 이틀 동안 우리 군에 내린 집중호우(350㎜)로 90곳의 공공시설과 사유시설이 피해를 입어 8억원의 손실을 입은 바 있습니다. 또한 9월12일 경주에서 규모 5.8의 지진이 발생해 우리나라도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을 일깨워줌으로써 국민에게 지진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킨 계기가 됐습니다.

최근에는 ‘고병원성 AI(조류 인플루엔자)'의 확산으로 9개 시·도 34개 시·군 274개 농장이 감염돼 2577만 마리의 가금류가 살처분(12월26일 기준)되는 사회재난이 발생했습니다. 이렇듯 올해는 전국적으로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이 끊임없이 발생되면서 국민에게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 모두는 최근 발생하고 있는 일련의 사례를 바탕으로 재난에 대한 경각심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재난안전의 패러다임에 변화를 주어야 하겠습니다. 과거 20세기의 분산 개별적 재난관리에서 통합적 재난관리로, 사후복구 중심의 재난관리에서 사전 예방․대비 중심의 재난관리로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지역적·소규모 재해 대응에서 국가적·대규모 재해 대응으로, 관 및 공공부문 주도에서 중앙·지방의 유기적 협업 및 민․관 협업 재난관리로 대전환이 수행돼야 하겠습니다.

우리 가평군은 올해에도 주민의 생명 및 재산을 각종 재해로부터 보호하고, 재난발생 시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예방·대비·대응·복구의 상호순환적 성격을 띤 환류 기능을 갖추는 데 주안점을 두고 일련의 재난활동을 전개해 왔습니다.

우선 급경사지 붕괴위험지역 4곳(엄소·상천·하천2·덕현지구)에 대한 사업비 지원을 건의해 국·도비 47억원을 확보하고, 작년의 1명에 이어 올해도 방재안전직 2명을 신규 채용해 재난관리의 전문성을 확보했습니다. 그리고 재난취약가구 300가구에 가스타이머를 설치하고, 조종면 현3리에 3억원의 예산을 투자해 안전펜스·CCTV·벽화그리기 등의 안전골목길을 조성해 화재예방 및 교통․범죄․생활안전의 향상을 도모했습니다.

현대에서 재난관리란 복구보다는 예방 및 대비에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그래서 내년에는 해빙기 전부터 장마 시작 전까지인 2월부터 4월까지 3개월 동안 건축물·시설물·해빙기점검시설 등 5개 분야 300여 개 시설을 대상으로 안전점검을 실시해 재난취약시설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합니다.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 발생에 대비해 5월10월, 11월에 군민과 유관기관이 참여하는 범군민 합동훈련을 실시해 대응 및 복구능력을 향상시킬 계획입니다.

올해는 국내외적으로 많은 어려움과 도전으로 점철된 해였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의 역사를 보면 국난이 닥쳤을 때 백성이, 국민이 앞장서 지혜롭고 슬기롭게 극복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마찬가지로 우리 군의 재난안전도 군민의 자발적인 책임의식과 공무원·유관기관·단체의 지원·협조 등과 같이 민관군의 협력체계가 어우러질 때 비로소 그 빛이 발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밝아오는 정유년(丁酉年) 새해에는 ‘안전도시 가평’이 실현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함께 노력해 나갑시다!

2017년 1월1일
가평군수 김성기

daidaloz@nate.com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