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김소영·신동철·정관주, 청와대 3인이 블랙리스트 주도"
결재라인 무시 실무진에 직접 지시
문체부 직원은 시키는 대로 일해
'리스트 못 봤다' 조윤선 말 못 믿어
김종덕 전 장관은 못 봤을 수도
Q : 블랙리스트를 봤나.
A : “김종덕 전 문체부 장관이 블랙리스트를 못 봤다고 말한 건 거짓말이 아니다. 정말 못 봤을 것이다. 문체부에서 나를 비롯해 많은 사람이 블랙리스트를 못 봤다. 청와대 비서관이 정상적인 절차를 무시하고 문체부 예술국 실무진과 직접 일을 했기 때문이다.”
Q : 블랙리스트가 어떻게 작성됐나.
A : “작년의 경우 김소영 전 청와대 문화체육비서관이 문체부 예술국 실·국장 이하 실무진과 수시로 연락하며 작업을 했다. 블랙리스트가 청와대·문체부 합작품이라는 얘기는 그래서 나왔을 것이다.”
Q : 청와대에서는 김소영 전 비서관만 관여했나.
A : “아니다. 김 전 비서관이 문체부와 연락을 주고받았지만 청와대에서 블랙리스트 작성을 주도한 세력은 따로 있었다. 당시 신동철 정무비서관, 정관주 국민소통비서관의 지시 또는 협의에 따라 김 비서관이 움직였다.”
Q : 청와대 주관 부서가 어디인가.
A : “겉으로 보기에는 김소영 전 비서관이 소속된 교육문화수석이다. 조윤선 당시 정무수석(현 문체부 장관)이 ‘블랙리스트를 못 봤다’고 주장하는 근거가 여기에 있다. 그러나 블랙리스트 작성을 실제로 주도한 신동철·정관주 전 비서관은 정무수석 소속이다. 나는 조 장관이 리스트를 못 봤다는 말을 믿을 수 없다. 그러나 조 장관도 김기춘 전 비서실장의 지시로 어쩔 수 없이 했을 것이다.”
Q : 김 전 비서실장 지시라, 근거 없는 추측 아닌가.
A : “고 김영환 민정수석 비망록에도 나오는 얘기다.”
Q : 비망록은 비망록이다.
A : “유진룡 전 문체부 장관이 문체부 공무원을 대표해 이와 같은 내용을 먼저 폭로했다. 후배들을 아끼는 마음에서 한 행동이었다고 생각한다. 나도 마찬가지다. 불쌍한 후배들을 위해 아는 대로 말했을 뿐이다.”
Q : 문체부에도 책임이 있다.
A : “청와대는 우리를 개처럼 부렸다. 우리는 청와대가 시키는 대로 일했을 뿐이다. 그러나 부역자로 몰리고 있다. 우리는 희생자다.”
Q : 그렇다면 더욱 진실을 밝혀야 하는 것 아닌가.
A : “공무원이 사실을 폭로하는 건 힘들다. 상대는 사악한 법률 전문가들이기 때문이다. 문제가 불거지면 일단 공무원 잘못으로 몰 것이고, 진실이 밝혀지는 과정에서 공무원이 조금이라도 실수하면 명예훼손이라고 소송을 걸 것이다. 나도 알아봤다. 특검에서 밝히면 괜찮지만 언론에 공개하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다들 입을 다물고 있다. 이해해 달라. 나도 특검이 부르면 이대로 말할 것이다.”한편 이 같은 주장을 확인하기 위해 전 비서관 3명에게 연락을 시도했으나 3명 모두 전화를 받지 않았다.
글=손민호 기자 ploveson@joongang.co.kr
사진=김성룡 기자
▶ 나경원·이혜훈·조윤선···웬수 된 '이회창 키즈' 왜
▶ 정년 65세 추진···연금 받는 나이와 같게 한다
▶ 대통령 "나도 모르는 부분이 기정사실 처럼···"
▶ "남재준 전 국정원장, 비선라인 조사하다 경질"
▶ 최순실 '주사 아줌마' "놔준 건 맞는데 청와대는···"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