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페이스북' 스냅챗의 광폭행보.. AR기술 스타트업 4000만달러에 인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2의 페이스북으로 꼽히는 스냅챗이 증강현실(AR)을 다루는 스타트업을 4000만달러(약 480억원)에 인수한다.
25일(현지시간) 엔가젯, 벤처비트 등 정보기술(IT) 외신들은 미국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스냅챗이 이스라엘의 AR 기술 스타트업 '씨매진(Cimagine)'을 인수할 것이라고 전했다.
스냅챗은 올해에만 버브(Vurb), 비트스트립 등의 업체를 각각 1억1000만달러(약 1320억원), 1억달러(약 1200억원)에 인수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냅챗, 이스라엘 AR 스타트업 '씨매진' 인수
내년 3월 IPO 앞두고 활발한 인수 및 투자 이어져
씨매진 인수 예상가 3000만~4000만달러… 스냅챗 속 쇼핑 기능 확대 예상돼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제2의 페이스북으로 꼽히는 스냅챗이 증강현실(AR)을 다루는 스타트업을 4000만달러(약 480억원)에 인수한다. 이어 최근에는 중국 지사를 설립하고 연구개발 인력을 확충하는 등 내년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활발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25일(현지시간) 엔가젯, 벤처비트 등 정보기술(IT) 외신들은 미국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스냅챗이 이스라엘의 AR 기술 스타트업 '씨매진(Cimagine)'을 인수할 것이라고 전했다. 인수가격은 3000만~4000만달러(약 360억~48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스냅챗은 씨매진을 인수한 뒤 중동 지역에 연구개발 센터를 짓고 인력을 추가 모집할 계획이다.
씨매진은 컴퓨터비전, 실시간 이미지 프로세싱, 모바일 개발, 국제 마케팅 등에 전문적인 역량을 보유했다. 이용자의 영상에 다양한 디자인을 입히는 스냅챗 서비스의 근간이 AR과 맞닿아있는 만큼 씨매진의 역량은 스냅챗에게 필요한 기술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다음해부터 SNS에 AR형 쇼핑 기능을 담으려고 집중하고 있는 스냅챗에게는 씨매진의 기술이 추가 매출 상승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기존에도 코카콜라, 존루이스, 샵 다이렉트 등의 리테일러업체들은 씨매진이 AR 환경에 적용하는 데에 필요한 기술을 보유한 것으로 판단하고 파트너십을 맺어왔다. 스냅챗은 씨매진으로 탄탄한 AR 쇼핑 플랫폼을 구성해 리테일러 업체들과 백화점 등이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들 계획이다.
한편 스냅챗은 내년 3월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활발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스냅챗은 올해에만 버브(Vurb), 비트스트립 등의 업체를 각각 1억1000만달러(약 1320억원), 1억달러(약 1200억원)에 인수했다.
이 같은 행보는 IPO를 앞두고 지금보다 한 발 더 나아간 성장 동력을 확보해 투자자들에게 확신을 주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제2의 페이스북으로 꼽히며 성장가능성을 인정받았지만 페이스북이 스냅챗의 상당 콘텐츠를 따라하며 빠르게 추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분당선 타는 여성들 조심하세요"…신체 노출 군복남 주의보 - 아시아경제
- 이준석, 김문수 '노인 무임 승차'에 "보수진영 그 모양 그 꼴" - 아시아경제
- 홍준표, 구두·머리·속옷 공세…친한계 "경선서 술자리 농담을" 탄식 - 아시아경제
- 쓰레기방 누가 볼까봐…월세 밀린 원룸에 불지른 30대 실형 - 아시아경제
- "보기만 해도 아찔"…흉물스럽게 방치된 '세계 최고층 폐건물' 건설 재개 - 아시아경제
- '살찐 국민' 급증하자 "비만이면 입장료 0원"…신박한 할인 내건 中관광지 - 아시아경제
- '이럴수가' 최후의 보루마저…최악의 경기에 신청 감소세 전환한 '법카' - 아시아경제
- "와! 한국 진짜 망했군요"…외신도 경악한 '7세 고시' 결국 - 아시아경제
- "대장암 피하려면 먹지마"…술·담배와 동급이라는 '이것' - 아시아경제
- "지금이 제일 쌀 때"…'트럼프 바겐세일'에 달러예금 다시 쑥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