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조작 논란 휘말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네이버가 '실시간 검색어' 삭제 기준을 두고 공정성 논란에 휘말렸다.
논란이 커지자 이날 네이버는 해명자료를 내고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를 인위적으로 추가하거나 제외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면서 "100% 기술적 제어가 불가능한 부분은 외부에 공개한 기준(링크)에 따라 모니터링을 통해 검색어 노출을 제외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삭제·제외 기준은 자체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란 점도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포털의 실시간 검색어 시스템 공정성 재점화
"삭제 기준은 자체적으로 만든 것 아냐" 해명
【서울=뉴시스】장윤희 기자 = 네이버가 '실시간 검색어' 삭제 기준을 두고 공정성 논란에 휘말렸다.
25일 미디어·인터넷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정부가 요청하는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를 순위에서 삭제·제외하는 자체 지침을 2012년부터 만들어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 탄핵과 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정국 불안으로 네이버의 실시간 검색어 검열 의혹은 정치사회적 문제로 일파만파 확산됐다.
논란이 커지자 이날 네이버는 해명자료를 내고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를 인위적으로 추가하거나 제외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면서 "100% 기술적 제어가 불가능한 부분은 외부에 공개한 기준(링크)에 따라 모니터링을 통해 검색어 노출을 제외하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삭제·제외 기준은 자체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란 점도 강조했다.
네이버는 "공개한 기준은 내부 기준이 아니며 대법원 판결 등에 따른 회사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작성한 기준"이라며 "이 기준은 포털 다음도 동일하게 갖고 있는 기준으로 양사 모두 외부에 이를 공개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한편 네이버 포털 서비스의 업계 점유율은 PC 87%, 모바일 90% 수준으로 대다수 국민들은 네이버가 메인에 표출하는 콘텐츠로 소식을 접한다.
포털의 실시간 검색어 시스템이 최신 이슈를 빠르게 알려주는 기능이 있지만 기사 반복 전송(어뷰징), 여론 호도의 원인을 제공한다는 비판도 받는다. 실시간 검색어 기준에 대한 모호성도 끊임없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예를 들어 국민적 관심사를 받는 정치·재계 유명 인사의 스캔들이 터져도 실시간 검색어 순위권에서 보이지 않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 때문에 지난 3월 발족한 포털 뉴스를 심사하는 제3 기관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에서도 실시간 검색어 시스템 개편을 논의하기도 했다. 하지만 네이버와 카카오의 비즈니스 전략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고, 시간을 더 들이며 상황을 살피자는 중론 속에 개편은 보류된 바 있다.
네이버 관계자는 "실시간 검색어 조작 가능성을 우려하는 분들을 실망시키지 않도록 합리적 기준과 투명한 운영으로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eg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정환, 女연예인 성접대 폭로 "남자 3명 동시에 만났다"
- '음주운전' 리지, 자숙 4년만 복귀 "많은 고민 있었지만…"
- 솔비 "가짜 음란 동영상에 2억 도난 피해…삶 끝내려 등산"
- 송가인 "TV에서 뚱뚱하게 나와…실물 작은데" 억울
- 강병규, 정치 성향 공개 "尹 파면되자마자 울었다"
- 박수홍, 아내 김다예 건강 적신호에 고압산소케어
- 남편이 '양관식' 같다더니…박승희 "이혼 생각했다, 양육권 고민도"
- "입만 터는 문과 X들이 다 해 먹는 나라"…이국종, 국방부에 사과
- "10년 키웠는데 내 아들 아니라더라"…유흥업소 드나든 주말부부 아내
- 봉천동 방화범, 피해 주민과 과거 층간소음으로 '쌍방 폭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