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솔, 시그폭스 IoT 모듈 주문 '폭주'..즐거운 비명

한주엽 2016. 12. 22. 18: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자부품업체 와이솔이 사물인터넷(IoT) 통신모듈 사업에서 돌풍을 예고했다. 프랑스 시그폭스 IoT 모듈 파트너사로 공식 선정된 이후 각국 업체로부터 주문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22일 와이솔은 시그폭스 IoT 모듈 샘플 공급에 이어 이달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김진덕 와이솔 커넥티비티모듈(CM) 사업부장(상무)은 “현재까지 약 30개 국가 150여개 업체가 시그폭스 모듈 구매를 문의하고 있다”며 “매일 10여개 업체씩 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상무는 “개별 업체당 주문 수량은 많지 않으나 모두 합치면 내년 최소 1000만개 이상 모듈이 출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와이솔은 새해 1월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에 시그폭스와 함께 참석해 주요 고객사와 공급 협의를 할 계획이다.

프랑스 시그폭스는 `소물인터넷`이라는 개념을 처음 제시한 회사다. 삼성전자와 인텔 등 글로벌 업체가 시그폭스 성장 잠재력을 높이 평가해 투자를 단행했다.

시그폭스 기술은 비면허 대역에서 기지국이나 중계기 없이도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 지역에서 최대 10㎞, 교외에서 최대 50㎞까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매우 좁은 통신 대역(UNW:Ultra Narrow Band)을 이용하기에 전송속도는 100bps로 느리다. 그러나 배터리만으로 수년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원격전력검침기, 주차비 계산 등 비교적 간단한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특화된 기술이라는 의미다.

시그폭스는 하드웨어 생산 판매가 아닌 각국 사업자와 별도 통신망 구축 후 서비스 사업으로 수익을 올릴 계획이다. 시그폭스 기술을 서비스로 구현하면 기기당 하루 최대 140개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다. 메시지의 데이터 크기는 12바이트 수준이다. 연간 최소 1달러에서 최대 12달러의 요금제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시그폭스 전용 통신칩을 텍사스인스트루먼츠(TI), ST마이크로, 아트멜 같은 반도체 기업이 라이선스 받아 생산 판매하는 것도 이 같은 배경에서다. 와이솔은 지난달 시그폭스 IoT 모듈 첫 번째 파트너사로 공식 선정됐다. 대만 이노콤도 와이솔과 함께 두 번째 모듈 생산 파트너사로 이름을 올렸다.

시그폭스 칩을 탑재한 IoT 모듈은 개당 2~3달러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경쟁기술인 로라(LoRA) 모듈 가격이 5~6달러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값이 저렴하다. 그 만큼 출하량 확대 속도가 빠를 것으로 전망된다. 와이솔이 내년 시그폭스 모듈을 1000만개 이상 출하한다면 200억~300억원 수준의 신규 매출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시그폭스는 2018년까지 자사 IoT 통신기술을 활용하는 국가가 60개국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공식 모듈 생산 파트너사가 두 곳 밖에 없는데다 와이솔이 주력 공급사라는 점에서 적잖은 수혜가 점쳐진다.

김 상무는 “시그폭스 외 경쟁 기술인 로라(LoRa) 모듈도 SK텔레콤의 공식 파트너사로 선정돼 대응하고 있다”며 “블루투스, 무선랜, 지그비, 지웨이브 등 다양한 커넥티비티 모듈도 판매 확대를 지속 추진해 통신모듈 사업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와이솔은 2008년 삼성전기에서 분사 독립한 업체다. 주력 사업품목은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표면탄성파(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다. 올해 약 4400억원 매출이 예상된다. 이 가운데 약 900억원이 통신모듈 사업에서 나온다. 와이솔은 SAW 필터와 통신모듈 사업을 양대 축으로 키워 2020년 매출 1조원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한주엽 반도체 전문기자 powerusr@etnews.com

<와이솔 증시정보>

증권사 목표주가 21,700원, 현재주가 대비 40% 추가 상승여력
최근 한달간 제시된 증권사 투자의견을 종합해보면 와이솔의 평균 목표주가는 21,700원이다. 현재 주가는 15,400원으로 6,300원(40%)까지 추가상승 여력이 존재한다.

증권사별로 보면 NH투자증권의 최준영 에널리스트가 " 성장성과 안정성 모두 확보, 동사는 국내 유일한 SAW Filter 제조업체로 글로벌 SAW Filter 수요 확대와 이익이 직결된다. SAW Filter 탑재량은 통신세대 진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는 구조. 이에 동사의 안정적 성장성에 주목할 것을 권고한다…" (이)라며 투자의견 N/R을 제시했고, LIG투자증권의 고의영 에널리스트가 " LTE 커버리지 확대와 함께 간다, 프리미엄 스마트폰 위주로 채용되던 모듈 제품이 중저가 스마트폰으로 하향 확산되고 있으며, 세계 LTE 침투율이 60% 수준임을 감안할 때 세트 출하량 성장 둔화는 별개로 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다…" (이)라며 투자의견 매수(유지)에 목표주가: 23,500원을 제시했다.


[재무분석 특징]
영업이익률 현재 10.43%로 업종평균 상회. PER은 11.28로 업종평균보다 낮으며, PBR은 2.06이다.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와이솔은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과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를 보이고 있다.
  와이솔 제이스텍 덕산네오룩스 SFA반도체 비아트론
ROE 18.3 12.1 3.6 -10.9 10.6
PER 11.3 50.8 101.8 - 31.1
PBR 2.1 6.1 3.7 1.4 3.3
기준년월 2016년9월 2016년9월 2016년9월 2016년9월 2016년9월


외국인/기관 순매수, 개인은 순매도(한달누적)
12월15일부터 전일까지 기관이 4거래일 연속 순매수했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방향성있는 매매를 하면서 80,689주를 순매수했고, 기관도 순매수량을 늘리며 94,177주를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들은 매도 우위를 지속하면서 174,866주를 순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5%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와이솔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5%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1.68%를 나타내고 있다.


거래참여는 개인투자자가 가장 활발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전체 거래의 85.15%를 차지하며 가장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줬고, 외국인은 9.42%를 나타냈으며 기관은 5.42%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이 81.02%, 외국인이 11.29%, 기관은 7.67%를 기록했다.


투심과 거래량은 보통, 현재주가는 강세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상승추세를 유지하고 있고, 거래량을 적용해볼 때는 중립적인 상태에서 큰 변동은 없다. 투자심리를 살펴보면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보이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단기, 중기, 장기 이동평균선이 정배열을 이루는 전형적인 상승국면에 있다.


관련종목들 상승 우위, 반도체업종 +0.76%
이 시각 현재 관련종목들도 상승이 우세한 가운데 반도체업종은 0.76% 상승중이다.
제이스텍 20,750원
▲300(+1.47%)
아이씨디 16,850원
▼50(-0.30%)
비아트론 25,700원
▲200(+0.78%)
지스마트글로벌 14,950원
▲650(+4.55%)


11월15일에 와이솔 3/4분기(2016년7월~9월)실적 발표됨
<발표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3/4분기 1,116.1억 111.0억 58.8억
직전분기 대비 18.5% 증가 27.9% 증가 161.1% 증가
전년동기 대비 13.4% 증가 14.9% 증가 10.8% 감소


[와이솔 2016년 예상 실적]
날짜 증권사(애널리스트)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16/12/01 LIG투자증권(고의영) 4390억 410억 340억
16/11/30 SK증권(박형우) 4401억 451억 259억
16/11/21 KTB투자증권(김양재, 이동주) 4427억 445억 232억
16/11/01 유진투자증권(박종선) 4453억 432억 246억
16/10/14 키움증권(김지산, 장민준) 4346억 421억 284억
[와이솔 2016년 예상 지표]
날짜 증권사(애널리스트) EPS(원) BPS(원) PER(배) PBR(배) EV/EBITDA(배)
16/12/01 LIG투자증권
(고의영)
1685 8248 8.1 1.6 3.7
16/11/30 SK증권
(박형우)
1298 7670 10.4 1.8 3.9
16/11/21 KTB투자증권
(김양재, 이동주)
1156 7563 12.4 1.9 4.5
16/11/01 유진투자증권
(박종선)
1229 7820 10.9 1.7 5.7
16/10/14 키움증권
(김지산, 장민준)
1443 7777 8.7 1.6 5.2



[와이솔 주주현황]
성명 주식수 지분율 최종변동일
김지호(외6인) 3,076,066주 15.18% 2016년 04월 21일
와이솔자사주 508,490주 2.51% 2016년 11월 22일
베어링자산운용(외2인) 2,288,793주 6.37% 2016년 06월 30일
아이마켓코리아자사주펀드 388,882주 1.08% 2016년 12월 05일
아이마켓코리아자사주 375,333주 1.04% 2015년 11월 20일


전자신문과 씽크풀의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가 쓴 기사입니다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