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명 중 1명은 빈곤층..노인층은 절반 육박

2016. 12. 20. 12: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불안한 노후준비..'전혀 안됐다' 19.3%
작년 가구당 소득 4천883만원..2.4% 증가에 그쳐

불안한 노후준비…'전혀 안됐다' 19.3%

작년 가구당 소득 4천883만원…2.4% 증가에 그쳐

(서울=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한국 경제의 저성장에 대한 우려가 커진 가운데 지난해 국민 6명 중 1명은 '빈곤층'으로 파악됐다.

가계의 평균 소득은 소폭 늘어났지만, 부채 증가율에 비하면 크게 낮은 수준이다.

또 저출산 등으로 고령화가 심각한 상황에서 노후에 대한 불안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 '빚은 뛰는데'…가구 소득은 2.4% 증가에 그쳐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는 가계의 소득 증가가 둔화한 현실을 고스란히 반영한다.

지난해 조사대상 가구의 평균 가구소득은 4천883만원으로 2014년(4천770만원)보다 113만원(2.4%) 늘었다.

소득에서 세금 등 비소비성 지출을 제외한 처분가능소득은 4천22만원으로 2014년에 비해 95만원(2.4%) 증가했다.

가구소득 가운데 근로소득은 3천199만원으로 전년 대비 2.2% 늘었지만, 사업소득은 1천122만원으로 1.7% 줄었다.

가구주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 가구가 6천341만원으로 가장 많고 자영업자 가구는 5천611만원, 임시·일용근로자 가구는 2천902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가구주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4.9%로 가장 많았다.

가계의 소득증가율 2.4%는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2.6%보다 0.2% 포인트(p)보다 낮은 수치다.

또 부채 증가율보다 훨씬 낮다는 점에서 우려를 키운다.

올해 3월 말 현재 가구당 평균 부채는 6천655만원으로 1년 사이 6.4% 증가했다.

소득 증가율보다 부채 증가율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그동안 가계부채 대책으로 소득 증가에 공을 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 국민 16%는 빈곤층…19.3%는 노후준비 전혀 안돼

빈곤층의 소득은 정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중위소득의 50% 미만인 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빈곤율은 처분가능소득 기준 16.0%로 집계됐다.

지난해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중위소득의 50% 기준) 기준 빈곤선은 연간 1천188만원이다.

특히 노인층 상황이 심각하다.

65세 이상 노인층의 빈곤율이 46.9%이고 은퇴연령층(66세 이상)은 48.1%나 된다.

사회안전망이 부족한 상황에서 노인 2명 중 1명은 빈곤에 허덕이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노후에 대한 불안감과 직결된다.

지난 3월 말 현재 조사가구 중 은퇴 가구의 비율은 16.3%로 작년(15.1%)보다 1.2%p 높아졌다.

또 예상 은퇴 연령은 66.9세로 1년 전보다 0.7세 많아졌다.

그러나 가구주의 은퇴하지 않은 가구 중 노후 준비가 '아주 잘돼 있다'(1.3%)와 '잘 돼 있다'(7.5%) 등 긍정적 답변은 8.8%에 그쳤다.

반면 '잘 돼 있지 않다'(37.3%)와 '전혀 돼 있지 않다'(19.3%) 등 부정적 응답은 56.6%로 절반을 넘었다.

게다가 노후준비가 전혀 돼 있지 않다는 응답은 작년 조사 때 17.4%보다 1.9%p나 상승했다.

은퇴하지 않은 가구 5곳 가운데 1곳은 노후준비를 전혀 하지 못했다는 얘기다.

◇ 가구당 평균 자산 3억6천만원…부동산 자산 5.8%↑

가계는 부동산 등 실물자산을 많이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3월 말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6천187만원으로 작년(3억4천685만원)보다 4.3% 늘었다.

금융자산은 9천400만원으로 1.2% 늘었고 실물자산은 2억6천788만원으로 5.5% 증가했다.

특히 실물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동산 자산이 2억5천29만원으로 5.8% 많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저금리 장기화 등에 따른 부동산 경기의 호조에 영향을 받은 결과로 풀이된다.

우리나라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 쏠림현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앞으로 문제가 될 위험성이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앞으로 부동산 가격이 하락 등 외부충격이 발생하면 부채가 많은 가계의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가계 자산에서 상위층 비중은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가 보유한 자산이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44.7%로 작년보다 0.2%p 올랐고 4분위 가구의 점유율도 0.2%p 오른 22.1%로 집계됐다.

그러나 소득 1분위(하위 20%)의 점유율은 6.7%로 작년보다 0.2%p 낮아졌다.

다만, 2015년 가계금융·복지조사의 지니계수는 0.341로 전년보다 0.04p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니계수는 불평등 정도를 수치화한 지표로 0(완전평등)과 1(완전불평등) 사이의 값을 나타낸다.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 정도가 심하다는 뜻이다.

기획재정부는 "대부분의 소득분배 지표가 2011년 이후 개선 추세를 지속하고 있고 정부 정책에 의한 소득 재분배 효과도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nojae@yna.co.kr

☞ 홍대 클럽 인근서 여대생 실종 1주일째…공개수사 전환
☞ '짐승 같은 사위'…70대 장모 성폭행한 50대에 징역 5년
☞ 마대에 담긴 부패한 여성시신…"두 종류 노끈에 묶여 있어"
☞ 10년 운전자도 탈락…바뀌는 면허시험 최대 난코스는?
☞ '최후의 보루' 동물복지 농장도 AI에 뚫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