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클라우드 트래픽 2020년까지 약 4배 증가"

2016. 12. 20. 11: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0년 세계 각국의 클라우드에서 처리하는 데이터 전송량(트래픽)이 지난해 대비 4배 가까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0일 글로벌 네트워크 업체 시스코가 발표한 '2015∼2020 글로벌 클라우드 인덱스'에 따르면 전 세계 클라우드 트래픽은 연간 기준 지난해 3.9ZB(제타바이트)에서 2020년 14.1ZB로 3.7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스코 분석 보고서..전 세계 데이터센터의 92% 차지

(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2020년 세계 각국의 클라우드에서 처리하는 데이터 전송량(트래픽)이 지난해 대비 4배 가까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0일 글로벌 네트워크 업체 시스코가 발표한 '2015∼2020 글로벌 클라우드 인덱스'에 따르면 전 세계 클라우드 트래픽은 연간 기준 지난해 3.9ZB(제타바이트)에서 2020년 14.1ZB로 3.7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1ZB는 약 1조1천억GB(기가바이트)에 해당한다.

클라우드를 합한 전 세계 데이터센터 트래픽은 2015년 4.7ZB에서 2020년 15.3ZB로 3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2020년에는 클라우드 트래픽이 전체 데이터센터의 92%에 달하는 셈이다.

클라우드 트래픽이 빠르게 증가하는 데는 클라우드가 전통적인 데이터센터보다 더 많은 업무량을 처리할 수 있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시스코는 분석했다.

또 2020년까지 전 세계 개인 인터넷 사용자의 59%(23억명)가 개인 클라우드 공간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됐다. 2015년 개인 클라우드를 이용한 인터넷 사용자는 전체의 47%(13억명)이었다.

동영상과 SNS를 사용하는 인터넷 이용자가 늘면서 전체 데이터센터에서 개인 데이터 처리량(워크로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21%에서 2020년 28%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비디오 스트리밍 처리량은 29%→34%, SNS는 20%→24%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밖에 전 세계에서 사물인터넷(IoT)이 생성한 데이터는 2020년까지 600ZB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대규모(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도 크게 늘어 2015년 259개에서 2020년 485개에 달하고, 트래픽도 5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국가별 네트워크 속도를 살펴보면 한국을 포함한 상위 10개 국가의 고정형 네트워크 다운로드 속도는 평균 66Mbps, 업로드 속도는 56Mbps였다. 모바일 네트워크는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29Mbps, 업로드할 때는 14Mbps로 나타났다.

한국의 고정형 네트워크 평균 다운로드 속도 60Mbps, 업로드 속도 53Mbps였고, 모바일 네트워크 다운로드 속도는 31Mbps, 업로드 속도 14Mbps를 기록했다.

시스코 코리아 박재범 부사장은 "앞으로 통신 인프라 개선과 더불어 동영상과 사물인터넷 사용이 늘면서 대규모 클라우드로의 이전이 빠르게 진행되고, 네트워크 트래픽도 급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okko@yna.co.kr

☞  임신하면 뇌 구조에 '놀라운 변화'…출산 2년까지 지속
☞ 보드카 대신 로션 마신 주민 40여 명 한꺼번에 사망
☞ 남성 수백명 음란행위 영상 채팅 녹화물 무더기 유통
☞ 마대에 쓰레기 봉투에…잇따른 시신 유기 범죄 왜?
☞ '태블릿 보도 불만' 해병대 출신 남성 JTBC에 트럭 돌진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