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부산, '메갈로폴리스' 시대로

목상균 2016. 12. 19. 18: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市, 21일 도시기본계획 재수립 공청회서 제시키로

울산ㆍ경남 아우른 인구 1000만 ‘광역권’ 염두

‘시민참여’에 방점…3개 생활권별 발전방향 제시

부산시가 울산과 경남을 아우르며 1,000만 부산광역권을 염두에 둔 광역개념의 새 도시기본계획을 제시했다. 반나절 생활권을 위한 교통망 구축에다 메갈로폴리스의 위상을 다져 1,000만 인구의 경제성장을 견인하겠다는 의지다.

부산시는 2030년 부산의 미래상과 발전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21일 오후 3시 국제회의실에서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 재수립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시 관계자는 “이번 도시기본계획은 과거와는 달리 시민이 직접 참여한 시민 참여형이며, 1,000만 부산광역권을 이끌어갈 광역적 계획이면서 미래가치를 강조하는 생활밀착형 계획”이라면서 “2011년 ‘2030년 부산도시기본계획’이 최초 수립된 후 5년이 경과, 재검토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새 도시기본계획이 수립됐다”고 설명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이번 계획은 시민을 위한 생활밀착형이다. 용도지역 변경 등이 수반되는 민간제안 사업과 공장 이전지 등 유휴부지 개발 등에 대해 ‘사전협상형 도시계획’제도를 전면 시행한다. 특혜성 개발을 불식시키기 위해 사업자와 행정청이 협의하며, 시민의견을 수렴해 공공성을 담보함으로써 개발이익이 시민에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하고 그 내용을 인ㆍ허가 이전에 시민에게 공개한다는 것.

아울러 도시계획 수립 시 시민과의 소통을 위해 시민계획단, 시민아카데미 등을 적극 활용,시민 눈높이에서 시민 스스로 정책결정에 참여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시는 이를 위해 시민참여를 도시계획뿐만 아니라 시정전반에 대해 대폭 확대하고 현안 추진과정에 시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소통과 공유의 시정을 구현할 방침이다.

또 하나의 방향으로는 부산, 울산, 경남을 아우르는 1,000만 광역부산권의 상생발전을 위한 그랜드 도시역량 강화를 추진한다는 것. 이를 위해 인근 지자체와 경제ㆍ관광 등을 네트워크화 하고, 반나절 생활권을 위한 광역고속교통망 구축과 광양~부산~포항에 걸쳐 300km에 이르는 해양산업벨트를 연계시키는 한편 양산~부산~울산 등 인접지역을 연결해 직장과 주거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계획했다. 또 연계산업단지 13개와 주거단지 2곳을 추가 조성해 산업물류 허브거점 실현과 부산권의 경제성장을 견인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부산의 도시공간 구조를 1광역중심, 4도심, 6부도심, 5지역특화권으로 재편할 방침이다.

이번 도시계획의 또 다른 특징은 지역불균형 해소와 자족기반 강화를 위해 3대 생활권별 발전방향을 제시한 점.

시는 중부산권은 도시재생과 해양-도심의 연계로 도시공간을 재창조하기로 했다. 실천방안으로 동천ㆍ부전천 재생, 범천동 차량기지 이전지 개발, 부산외대 이전부지개발, 가야조차장 복합개발, 태종대유원지 복합관광타운을 조성하고, 자성대 해양비즈니스단지, 우암ㆍ감만ㆍ영도 해양 신산업클러스터, 부산진역 부지 북항 연계 개발 등 항만 재개발사업도 계속 추진키로 했다.

동부산권은 스마트시티와 천혜의 해양경관을 기반으로 미래산업과 명품 해양관광의 메카로 만들 계획이다. 세계적 수준의 IoT 기반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조성과 센텀2 도시첨단산업단지, 한진CY부지 개발, 신재생 에너지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오시리아 관광단지와 한국유리 부지 해양관광 단지개발, 동백섬 운촌마리나항 개발, 일광유원지 등 관광 인프라를 조성할 계획이다.

서부산권은 신공항을 중심으로 산업ㆍ주거ㆍ관광이 연계되는 글로벌 관문도시로서의 위상을 갖게 할 계획이다. 서부산 앵커시설인 신공항을 중심으로 연구개발특구, 항공클러스터, 공항 배후도시, 유라시아 관문 복합터미널, 둔치도 강문화생태공원을 조성하고, 사상스마트시티와 강변창조도시, 신평ㆍ장림 혁신형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 등으로 낙후지역을 재창조하며, 2030등록 엑스포를 성공적으로 개최, 서부산시대를 활짝 열 계획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2030년 도시기본계획은 부산시 최상위 공간계획이며, 개발과 보전에 관한 정책계획의 위상을 가진다”며 “향후 시의회 의견청취,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년 6월 최종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목상균 기자 sgmok@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