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홈 시장 커지고 있지만.."단순 편의 제공 그쳐"

이상현 2016. 12. 19. 17: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물인터넷(IoT)의 시장규모가 성장함에 따라 이를 접목한 '스마트홈' 시장의 규모 역시 함께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현재 편리함과 편의성에 초점을 맞춘 지금 시장이 더 성장한다면, 앞으로 고령화,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보건과 의료 분야에서도 사물인터넷을 접목한 스마트홈 서비스가 보편화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사물인터넷을 주거환경에 접목한 스마트홈 시장 역시 덩달아 확대될 전망이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oT 급성장에 힘입어 3년 후 시장규모 2배로 커질 전망
"분양률 높이는 방편 벗어나 새로운 생태계 구축 필요"

 

사물인터넷(IoT)의 시장규모가 성장함에 따라 이를 접목한 '스마트홈' 시장의 규모 역시 함께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현재 편리함과 편의성에 초점을 맞춘 지금 시장이 더 성장한다면, 앞으로 고령화,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함에 따라 보건과 의료 분야에서도 사물인터넷을 접목한 스마트홈 서비스가 보편화 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 스마트홈 시장규모 4년 내 2배 성장 전망

스마트홈 시장 규모는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가 성장함에 따라 함께 커지고 있는 추세다.

19일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자료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지난해 3조 8000억 규모로 추산됐다. 사물인터넷 시장은 올해 4조 9000억 규모로 커지고 2019년에는 10조 6000억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약 3배 정도로 시장규모가 커지는 것이다.

사물인터넷을 주거환경에 접목한 스마트홈 시장 역시 덩달아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스마트홈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스마트홈 시장 규모는 8조 5677억원이었으나 올해는 11조 1400억원 규모로 성장한 데 이어 2017년에는 13조2800억원, 2019년 21조1700억원 규모로 급속하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 건설사들 다양한 '스마트홈'  서비스 경쟁

현대건설은 SK텔레콤과 함께 '지능형 스마트홈' 서비스를 지난 10월 서울 목동, 경기 평택 송담 힐트테이트 등에 처음으로 도입했다.

지능형 스마트홈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불 꺼', '가스 잠가' 등의 말을 하면 사물인터넷과 연동된 가전기기의 조작이 가능하다.

삼성물산은 'IoT 홈 큐브'를 이 달 공급한 석관동 래미안 아트리치와 잠원동 래미안 신반포 리오센트에 적용한다. 이 시스템에는 '안면인식 출입시스템', '웨어러블 원패스 시스템' 등이 포함됐다.

대우건설도 LG유플러스, SK텔레콤 등 통신사와 협업해 IoT 허브를 탑재한 '스마트 월패드'를 개발해 지난 11월 공급한 연희 파크 푸르지오'에 적용했다.

이외에도 GS건설이 '스마트폰 연동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대림산업이 '대쉬(Daelim Application for smart Home)'등을 도입해 서비스 중에 있다.

한 대형건설사의 관계자는 "분양하는 아파트 외에도 요즘에는 건설현장에도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기술들이 많이 도입되고 있는 추세"라며 "현재 건설사별로 다양한 스마트 홈 시스템 구축 경쟁에 나서고 있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 단순 편의제공 서비스에 국한…새로운 생태계 구축해야

스마트홈 기술이 보현화되고 있지만 한계점도 지적된다.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스마트홈 시스템들은 단편적인 편의를 제공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우영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금 스마트홈 시장은 단순히 사물인터넷과 연동돼 좀 더 편리한 주거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치중하고 있다"며 "건설사들도 스마트홈 시스템을 적용했다는 홍보를 통해 분양률을 높이려는 방법으로만 이용하고 있을 뿐"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위원은 "애플사의 아이폰을 예로 들면, 기존 생태계가 아닌 새로운 스마트폰 생태계를 구축하고 선점해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이뤄냈다"며 "스마트홈 시장 역시 단순히 편의를 제공하는 것에 그칠 것이 아니라 새로운 생태계나 플랫폼을 만들어 내고 그것과 연동된 다른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건설사가 노력한다면 다양한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로운 스마트홈 플랫폼이 구축되면 집 외부에서 이뤄지던 다양한 활동들을 집 안에서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장희순 한국정보통신융합연구협동조합 경영기획실 실장은 "스마트홈 사업의 장기적인 전망은 긍정적이지만 아직까지 스마트홈 서비스 시나리오가 구체화되지 않았고 비즈니스 모델도 불분명하다"며 "중장기적으로 보면 문화, 건강, 쇼핑 등 집 밖의 다양한 공간에서 이뤄지던 일들이 집안에서 편리하게 이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장 실장은 "의료비를 낮추기 위해 원격진료를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등 관련사업 규제완화 움직임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상현 기자 ishsy@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