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 못추는 선강퉁, 내년 1월엔 다르다?

윤경현 2016. 12. 19. 17: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2월 선전지수 5.5% 하락 국내 거래도 6분의1 토막
내년 달러강세 둔화 조짐 선전증시 기술적 반등 기대

12월 선전지수 5.5% 하락 국내 거래도 6분의1 토막
내년 달러강세 둔화 조짐 선전증시 기술적 반등 기대


'1월효과 선강퉁의 반격을 주목하자.' 12월 중국증시는 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이달 들어 3.9% 하락했고, 특히 선전지수는 5.5% 떨어졌다.

후강퉁과 달리 선강퉁 시행 이후 선전증시가 약세를 보이는 것은 무엇보다 기업가치에 비해 주가가 비싸기 때문이다. 그러나 증시 전문가들은 1월효과와 정책효과가 선강퉁의 반등을 이끌 수 있어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선강퉁 2주 거래대금 급감

선전증시가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국내 선강퉁 투자도 2주차를 맞아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첫날인 지난 5일 선강퉁 거래대금은 6256만 위안(약 106억원)이었지만, 6일에는 매수와 매도를 합쳐 4759만 위안(약 81억원)으로 감소 했다. 7일에는 2975만 위안(약 50억원), 8일 1757만 위안(약 30억원)으로 감소했다.

지난 16일 기준 국내 투자자들의 선강퉁 거래대금은 1074만 위안(약 18억원) 수준이다. 시행 2주만에 6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증권업계는 선전 증시의 부진과 후강퉁에 대한 학습효과 때문에 초기 투자열기가 예상보다 낮은 수준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국내투자자들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자, 전국단위의 대규모 설명회와 지점별 설명회 등을 개최하면서 투자자 모으기에 공을 들이던 증권업계는 당분간 대형설명회는 열지 않겠다는 분위기다.

삼성증권은 지점별로 고객들의 요청이 있을때는 설명회를 개최 하겠지만, 당분간 대형 설명회는 예정에 없다.

유안타증권도 선강퉁 시행 이전 서울, 분당, 부산에서 대형 설명회를 개최하고, 전 지점에서 동시 설명회도 열었지만 현재는 소강상태다. NH투자증권도 이미 사전에 충분히 고객들을 대상으로 홍보를 한 만큼 추가적인 설명회는 없다는 입장이다.

■'중국제조 2025정책' 주목

후강퉁 당시 상하이종합지수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글로벌 소형주지수(20배)의 절반 수준이었다. 이와 달리 현재 선전지수의 12개월 선행 PER는 30.1배에 이른다. 글로벌 소형주(21.5배)와 상하이종합지수(14.9배)보다 50% 이상 높고, 프리미엄도 과거에 비해 월등히 높게 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대신증권은 내년 1월 중순 이후 선전증시가 의미있는 기술적 반등을 시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선정증시의 유동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달러 강세가 트럼프 당선인의 대통령 취임 후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중국 물가사이클의 단기 고점이 2∼3월에 나타날 것으로 예상돼 금리 상승 위험은 1월 중 상당부분 반영될 전망이다. 선전증시 입장에서는 이 시기에 단기 반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영일 연구원은 "선전증시의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아지기 전(PER 25배 이하)까지는 선강퉁 거래에서 선별적 접근이 필요하다"면서 "당장은 1월 효과와 정책효과에 주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최근 3년 간(2013∼2015년) 선전지수의 12월 평균 상승률은 0.5%에 그치며 같은 기간 월평균 상승률(3.1%)에 한참 모자랐다. 김 연구원은 "기업의 재무리스크 확대에 따른 선전지수의 계절성은 연말을 지나면서 빠르게 해소됐고, 1월 평균 상승률은 5.1%로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대신증권은 '중국제조 2025정책' 관련주에 주목했다. 중국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글로벌 제조강국에 진입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차세대 정보기술, 디지털 공작기계.로봇, 항공장비, 신에너지자동차, 바이오의료 등 10개 육성산업을 선정했다. 제조업 혁신을 동시에 추진하는 만큼 자동화 관련 산업도 빛을 볼 전망이다.

'인터넷 플러스 전략'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중국정부는 2018년까지 인터넷, 정보통신기술(ICT)과 경제.사회 전반의 융합, 이를 통한 신성장동력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전자상거래 및 인터넷 금융,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이동통신망 등이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blue73@fnnews.com 윤경현 안승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