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아이, ADAS 국내 공략 박차

안갑성 2016. 12. 18. 17: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부분의 교통사고는 전방 주시 태만, 교통법규 위반 등 운전자의 부주의한 운전으로 인해 발생한다.

글로벌 완성차 메이커의 90%가 채택한 ADAS 솔루션 '모빌아이'가 렌터카와 택시 등 업무용 차량을 중심으로 국내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모빌아이 560은 △최대 2.7초 전에 경고해주는 전방 차량 추돌 경보 △차간거리 경보 △보행자 충돌 경보 △차선이탈 경보 △속도제한 표지판 인식 등 5가지 핵심 기능을 갖췄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성욱 한국지사장 "택시·렌터카에도 적용, 사고 줄이겠다"
박성욱 한국지사장이 `모빌아이` 제품을 설명하고 있다.
대부분의 교통사고는 전방 주시 태만, 교통법규 위반 등 운전자의 부주의한 운전으로 인해 발생한다. 사고 예방을 위해 앞차 충돌 경고, 차선이탈 경고 등 기능을 갖춘 지능형 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을 설치하는 차량이 늘고 있다.

정부도 내년부터 20t 이상 트럭과 11m 이상 버스 등 약 15만대의 대형 차량에 ADAS 부착을 의무화할 방침이다. 최신 차량이 아닌 구형에도 설치 가능한 시판용(애프터마켓) ADAS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기업은 이스라엘의 '모빌아이'다.

글로벌 완성차 메이커의 90%가 채택한 ADAS 솔루션 '모빌아이'가 렌터카와 택시 등 업무용 차량을 중심으로 국내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최근 모빌아이 한국지사는 서울의 한 택시업체 차량 120여 대에 거치형 ADAS 제품 '모빌아이 560'을 공급하는 방안을 전제로 한 달 전부터 택시 10대에 시범 운영을 하고 있다. 전국 주요 도시에 있는 법인택시공제조합과도 시범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

박성욱 모빌아이 한국지사장은 "2014년 한국시장에 진출한 뒤 지난 7월 천안 소재 택시회사 모든 차량(62대)이 모빌아이를 장착했고, 제주도의 '레드캡' 렌터카사업부는 올해 하반기 이후 신형 차량 전체인 92대에 도입했다"며 "국내 주요 렌터카 기업 가운데 두 곳에서도 모빌아이의 시범 운영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중에서 100만원대 가격으로 출시된 모빌아이 560은 전면 유리창에 부착하는 영상 카메라 센서와 운전석 근처에 거치해서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로 이뤄진 제품이다.

모빌아이 560은 △최대 2.7초 전에 경고해주는 전방 차량 추돌 경보 △차간거리 경보 △보행자 충돌 경보 △차선이탈 경보 △속도제한 표지판 인식 등 5가지 핵심 기능을 갖췄다.

모든 기능에는 모빌아이의 차별화된 영상 이미지 센서 기술력이 담겼다. 모빌아이는 레이더나 레이저 기반 ADAS 센서와 달리 사람의 눈처럼 차량, 보행자, 표지판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이나 보행자의 경우 영상의 프레임 간 비교를 통해 이동 속도와 방향을 측정해 충돌 여부를 미리 알 수 있다.

다만 짙은 안개나 칠흙 같은 밤과 같이 육안으로 식별하기 힘든 상황에서는 모빌아이 560이 완벽하게 작동하지 않는다.

현재 모빌아이는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물량은 본사, 시판용 제품은 국외지사가 담당하는 이원적인 체제로 글로벌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박 지사장은 "모빌아이는 일찍이 2008년부터 시판용 시장에서도 기업 간 거래(B2B) 위주로 글로벌시장에 진출했지만 한국은 시장 진입이 늦은 편"이라고 밝혔다.

모빌아이는 공공운수사업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ADAS 솔루션인 '실드 플러스(Shield +)' 사업도 국내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박 지사장은 "대형 버스의 양쪽 측면에 영상 카메라 센서를 추가로 설치해 앞차뿐만 아니라 좌우 사각지대 차량이나 보행자까지도 교통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며 "사업 초기 단계인 한국은 현재 이동통신사 2곳이 실드 플러스를 활용한 사물인터넷(IoT) 사업 모델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안갑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