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 2인자였던 그는 왜 당에서 제명당했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89년 전 오늘인 1927년 12월18일.
당시 소련에서는 15차 공산당대회가 열렸고 이 자리에서 충격적인 일이 벌어졌다.
불세출의 혁명가였던 그가 당에서, 조국에서 쫓겨난 이유는 레닌 사후 스탈린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렸기 때문이다.
그사이 스탈린은 혁명 당시 트로츠키의 역할을 축소 왜곡했고 그의 사상이 레닌에 맞서는 것이었다고 비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 89년 전 오늘인 1927년 12월18일. 당시 소련에서는 15차 공산당대회가 열렸고 이 자리에서 충격적인 일이 벌어졌다. 러시아 혁명을 주도해 소련을 세웠고 블라디미르 레닌에 이어 권력 2인자였던 레온 트로츠키가 당에서 제명된 것이다. 이태 뒤 트로츠키는 추방됐고 '트로츠키주의자'는 단죄됐다.
불세출의 혁명가였던 그가 당에서, 조국에서 쫓겨난 이유는 레닌 사후 스탈린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렸기 때문이다. 그에게도 권력을 잡을 기회는 있었다. 역할이 미미했던 스탈린과 달리 혁명의 주역이었던 트로츠키에게 레닌은 인민위원회 의장을 맡아 정부의 수반이 돼 달라고 했다. 하지만 트로츠키는 고사했고 이어 내무부 장관 자리 제안에도 손사래를 쳤다.
이는 유대인이었던 트로츠키가 당시 러시아의 정서를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는 초대 외무부 장관을 맡았다. 스탈린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공을 쌓은 트로츠키가 결국 밀려난 것은 그의 오판 때문이었다. 그는 스탈린을 얕잡아 봤다. 로버트 서비스 영국 옥스퍼드대 역사학과 교수가 쓴 전기에 따르면 천재였던 트로츠키는 스탈린을 "재능이라고는 없는 사람이며 무식쟁이에 단지 평범한 관료"라고 노골적으로 무시했다. 또 기회가 와도 권력을 잡으려고 하지 않았고 자기중심적인 성격과 독설로 주변에 적을 많이 만들었다.
그사이 스탈린은 혁명 당시 트로츠키의 역할을 축소 왜곡했고 그의 사상이 레닌에 맞서는 것이었다고 비난했다. 그 결과 온갖 모략과 공작으로 스탈린은 트로츠키를 당에서 제명할 수 있었다. 추방된 뒤 세계를 떠돌던 트로츠키는 1940년 멕시코에서 비참하게 최후를 맞았다. 그가 멕시코서 죽게 된 사정은 이렇다. 터키, 프랑스, 노르웨이를 전전하던 트로츠키를 멕시코로 부른 것은 민중화가로 이름을 떨치던 디에고 리베라였다. 리베라는 트로츠키가 1937년 멕시코로 망명하는 것을 도왔고 부인이던 프리다 칼로의 친정집을 거처로 제공했다. 프리다 칼로와 트로츠키의 로맨스가 싹튼 것도 이 무렵이라고 한다.
트로츠키는 멕시코 코요아칸의 저택에서 1940년 8월20일 사망했다. 라몬 메르카데르라는 남자가 등산용 얼음도끼(피켈)로 뒤통수를 찍었다. 이 사람을 보낸 이는 스탈린으로 알려졌다. 스탈린이 외국에서 떠돌던 트로츠키를 굳이 죽인 이유는 그의 영향력 때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의 사상은 서유럽의 공산주의 지식인과 혁명가들에게 많은 지지를 받았고 그는 반(反) 스탈린 투쟁을 멈추지 않았다. '배반당한 혁명' 등의 저서도 발표했다.
트로츠키는 사망하던 해 2월의 죽음을 예감한 것처럼 일기에 이렇게 썼다. "의식을 깨우친 이래 나는 43년의 생애를 혁명가로 살아왔다. 나는 화해할 수 없는 무신론자로 죽을 것이다. (중략) 인생은 아름답다. 훗날의 세대들이 모든 억압과 폭력에서 벗어나 삶을 마음껏 향유하기를…"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뱀 빠졌던 급식 먹고 학생 100여명 병원행…교사들 도주, 인도 당국 수사 착수 - 아시아경제
- "연휴가 무너졌다…5분마다 화장실행" 하루 400명씩 환자 쏟아진 '이 병' - 아시아경제
- "3만원짜리 라지 피자 누가 먹나"…국내 진출 40년 만에 '멸종 위기' 피자헛 - 아시아경제
- 한덕수 출마 만류했다는 황교안 "이 나라 어찌할꼬" 썼다가 삭제 - 아시아경제
- "아버지가 농심 직원이신가요?" 품절대란…'제니 최애'보다 더 강력한 '동생킥'[먹어보니] - 아시
- 58% 급등의 주인공, 테슬라 아니었다…트럼프 취임 100일간 최대 수혜주는[기업&이슈] - 아시아경
- "다이어트 중에도 죄책감 없이 먹어요"…요즘 여대생들 열광하는 편의점[르포] - 아시아경제
- "이게 전설 속에서 나온 뱀?"…10만 분의 1 확률로 태어난 '두 머리 가진 뱀' - 아시아경제
- "환상적이라더니 동네 뒷산 수준" 19000원 '짝퉁 후지산'에 관광객 '분노' - 아시아경제
- "무시무시한 순간이었다"…총 소리에 돌변한 북극곰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