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발 안 먹히는 가계부채..악순환 뇌관 우려

이대건 2016. 12. 17. 23:2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1,300조 원을 넘어선 가계부채에 대한 정부의 각종 대책이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내년에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 상황이 왔는데도 오히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한다면 우리 경제에는 최악의 시나리오가 될 수 있습니다.

이대건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11월 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은 704조 6천억 원.

전달보다 8조 8천억 원이나 늘어나며 사상 처음으로 700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증가 폭은 통계가 집계된 2008년 이후 지난해 10월에 이어 두 번째로 크고 예년 11월 평균 증가액의 2배를 웃도는 수준입니다.

뒤늦게 정부가 올해 들어 8·25 가계부채 대책을 비롯한 여러 대책을 쏟아냈지만 약발이 먹히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이주열 / 한국은행 총재 (지난 15일) : 11월 3일 부동산 대책이 나오기도 했는데 정부의 수차례 가계부채 대책이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내년에는 금리를 올려야 할 상황이 올 경우 가계부채는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3분기 말 기준 은행권이 58.6%인 점을 감안하면 전체적으로 7백조 원에서 8백조 원에 이릅니다.

대출 금리를 1%포인트 올릴 경우 가계가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이자가 연간 7조 원에서 8조 원에 이른다는 뜻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대출의 주된 담보인 부동산 가격까지 떨어지게 되면 우리 경제에는 최악의 시나리오입니다.

이달 초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이 약 2년 만에 처음으로 하락세를 보이면서 부동산 시장이 잔뜩 움츠린 상황입니다.

게다가 내년에도 주택 공급은 가파르게 늘어날 예정이어서 부동산 가격 하락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주택 가격이 20% 떨어지면 은행권이 최대 28조 8천억 원의 손실을 볼 수 있다는 국회 보고서도 나왔습니다.

지난 2014년 박근혜 정부의 인위적인 부동산 부양책이 만들어낸 가계부채 폭탄이 한국 경제 전반에 악순환을 가져오는 뇌관으로 작용할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YTN 이대건[dglee@ytn.co.kr]입니다.

▶ [원포인트생활상식] 생활 속 아이디어 공모전▶ 뉴스 덕후들의 YTN페이스북 ▶ 내가 만드는 뉴스! YTN제보

[YTN 화제의 뉴스]
'세월호 7시간' 김영재 병원에서 찾은 두 가지 증거죽거나 죽이거나? 朴대통령 5촌간 살인사건 미스터리"정치인이 콘서트 막아" 가수 윤복희가 SNS에 올린 글100살 생일 축하 사진 SNS에 올렸다가 성범죄 들킨 男어느 여성이 아이 낳으라는 친척들에게 보낸 사진
[저작권자(c) YTN(Yes! Top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