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생산현장 허리가 무너진다

2016. 12. 16. 11:1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5~44세 핵심층 5년새 50만명

60세이상 110만명 증가와 대조

3040취업자 비중 50%선 붕괴

25~29세 5.9%감소 취업절벽 실감

출산율 제고 정책만으론 한계

고령층 활용 새모델 구축해야

저출산ㆍ고령화가 심화하면서 산업현장의 ‘허리’가 급속히 약화되고 있다. 최근 5년 동안 25~44세의 핵심생산 연령대의 취업자가 50만명 가까이 줄어든 반면, 60세 이상 고령 취업자는 이보다 2배 이상 많은 110만명 증가했다.


취업자 고령화 현상은 올해를 정점으로 15~64세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면서 앞으로 더욱 가속화할 전망이다. 특히 생산가능인구는 2020년대부터 연 30만명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측돼 산업현장의 고령화가 심각한 상황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16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조사결과를 보면 전체 취업자는 지난달 현재 2659만2000명으로 사상 최대수준에 달하면서 지난 2011년 11월 이후 5년 동안 200만3200명 증가했는데 45세 이상의 중년 및 고령층에서 집중적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20~24세 취업자가 이 기간 중 23만800명 늘어난 반면 25~44세 사이의 취업자는 48만8000명 감소했다. 40~44세 취업자가 17만9300명 줄어 감소규모가 가장 컸고, 이어 30~34세(-12만5400명), 25~29세(14만5800명), 35~39세(-3만8100명)의 순을 보였다.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들인 20대 초~중반 취업자만 늘었을 뿐 청년 및 장년층 취업자는 급속히 감소한 것이다.

이에 비해 45세 이상의 중년 및 고령층 취업자는 급속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베이비붐 세대로 본격 은퇴 시기에 이른 55~64세 취업자가 130만명 가까이 늘었다. 최근 5년 동안 55~59세 취업자가 74만1900명 늘어나 증가규모가 가장 컸고, 60~64세 취업자도 54만9700명 늘었다. 이어 65세 이상(54만6100명), 50~54세(21만3000명), 45~49세(19만1100명)의 순으로 증가규모가 많았다.

5년 동안의 증감률을 보면 전체 취업자가 8.1% 늘어난 가운데 60~64세 취업자가 41.8%나 급증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55~59세(36.2%), 65세 이상(31.8%) 연령층도 30% 이상 급증했고, 이어 50~54세(6.9%), 45~49세(5.8%)의 순을 보였다. 반면 25~29세 취업자가 5.9% 감소해 감소율이 가장 컸고, 이어 40~44세(-5.3%), 30~34세(-4.4%), 35~39세(-1.3%)의 순을 보였다.

이로 인해 5년 전만 해도 전체 취업자의 절반을 넘어 51.8%를 차지했던 30~40대 취업자 비중이 46.4%로 50% 아래로 떨어졌다. 취업자 비중은 40~49세가 2011년 11월 27.1%에서 지난달에는 25.1%로 2%포인트 줄었고, 30~39세는 23.7%에서 21.3%로 2.4%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50~59세는 21.4%에서 23.3%로, 60세 이상은 12.3%에서 15.5%로 각각 2%포인트 안팎씩 증가했다.

취업자 고령화 현상은 내년부터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면서 더욱 심화될 전망으로, 경제 역동성을 위해선 대책이 시급하다. 출산율 제고 정책만으로는 이에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고령층 노동력 활용방안이 다각적으로 강구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근 한국은행은 보고서를 통해 고령화를 먼저 경험한 선진국들의 경우 고령층 고용의 양적ㆍ질적 수준이 양호한 미국ㆍ영국ㆍ독일은 경제활력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고령층 고용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프랑스ㆍ이탈리아ㆍ스페인은 경제활력이 저하되면서 오히려 고령층 부양부담으로 고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감안한 고용 및 노동ㆍ연금정책의 대전환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해준 기자/hjlee@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