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비선·문고리 권력 조사하려다 남재준·이재수 차례로 경질"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박근혜 정권은 최순실씨를 비롯한 비선 세력의 국정 개입 및 농단은 물론 비선의 존재 자체를 ‘성역’으로 만들고 외부기관의 관련 조사와 보도 등을 철저히 차단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2014년 이들 비선 세력에 대해 조사했다는 이유로 정보 최고책임자인 남재준 국가정보원장과 이재수 국군기무사령관이 차례로 경질된 정황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 |
이른바 ‘정윤회 문건’을 작성한 박관천 전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실 행정관은 2014년 11월 세계일보 인터뷰에서 남 원장과 이 사령관이 비선에 대해 조사를 하려다가 그해 5월과 10월 차례로 경질됐다고 증언했다.
|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여파로 자리에서 물러난 것으로 알려진 남재준 전 국가정보원장(왼쪽)과 이재수 전 국군기무사령관. 세계일보 자료사진 |
이 전 사령관은 비선과 문고리 권력을 조사하려다 경질된 것으로 보인다. 박 전 행정관은 “이 사령관도 그것 때문에 날아갔다”며 “그는 나중에 ‘남재준 선배가 날아갈 때 빨리 눈치를 챘어야 하는데 한발 더 나갔다가 날아갔다’고 후회했다고 하더라”고 전했다.
전직 기무사 핵심 관계자는 최근 특별취재팀과 만나 “이 전 사령관이 요원들을 시켜 비선과 문고리에 대해 알아보다가 내부에서 고자질하는 바람에 날아갔다”고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세계일보는 관련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남 전 원장과 이 전 사령관에게 수차례 통화를 시도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
2014년 1월 비선실세의 국정농단 의혹을 담은 이른바 ‘정윤회 문건’을 만들고 보고한 당시 청와대 공직기관비서관실의 조응천(왼쪽) 비서관과 박관천 행정관(오른쪽). |
특별취재팀=김용출·이천종·조병욱·박영준 기자 kimgij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