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제철음식] 포항 구룡포의 겨울 별미 '과메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청어의 눈을 꼬챙이로 꿰어 말렸다는 관목(貫目)에서 이름이 유래했다는 과메기는 여행지에서 식도락을 찾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아주 높은 음식이다.
"청어가 하도 많이 잡히니까 여러 마리를 새끼줄에 꿰어서 부엌 처마에 매달아 놓기 시작했죠. 며칠 정도 지나니 아궁이 연기에 훈제된 청어들이 아주 맛있어 온통 처마에 매달아 놓고는 과메기를 말려 먹은 기억이 있습니다." 그 시절 과메기는 반찬으로서의 역할이 컸다고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어의 눈을 꼬챙이로 꿰어 말렸다는 관목(貫目)에서 이름이 유래했다는 과메기는 여행지에서 식도락을 찾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아주 높은 음식이다. 특히 애주가들은 초장을 찍은 과메기를 알배추와 마늘, 고추, 미역, 김 등과 싸서 소주와 함께 한 입에 털어 넣는 과메기 쌈을 겨울 별미로 추켜세운다.
지금은 주로 꽁치로 과메기를 만들지만, 과메기의 시초는 청어가 원조라고 말한다. 국내 여러 문헌을 보면 오래 전부터 청어를 말리거나 절여서 먹었다는 기록이 있어, 지금의 과메기처럼은 아니더라도 청어를 저장음식으로 먹은 역사는 꽤나 오래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구룡포에서 과메기를 생산하고 있는 남양수산의 김성호 대표는 어린 시절 기억을 들추어 근대의 과메기에 대한 설을 풀었다. “청어가 하도 많이 잡히니까 여러 마리를 새끼줄에 꿰어서 부엌 처마에 매달아 놓기 시작했죠. 며칠 정도 지나니 아궁이 연기에 훈제된 청어들이 아주 맛있어 온통 처마에 매달아 놓고는 과메기를 말려 먹은 기억이 있습니다.” 그 시절 과메기는 반찬으로서의 역할이 컸다고 한다. 요즘 먹는 방식과 비슷하면서도 다르게, 과메기처럼 겨울이 제철인 미역에 싸서 한 입 먹고, 갓 담근 김장김치를 쭉쭉 찢어 과메기 살점에 둘둘 말아서 따뜻한 밥 한 술과 먹으면 아주 꿀맛이었다고 한다.
과메기는 포항 내에서도 구룡포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고 가장 유명하다. 최근 들어 중국 어선들과의 어획 경쟁으로 인해 북쪽의 러시아해까지 올라가 꽁치를 잡아오지만, 냉동된 꽁치를 가져와 과메기로 만드는 작업은 구룡포 곳곳의 덕장에서 이루어진다. 근래에는 가까운 연안에서 청어들도 잡히고 있어 한동안 사라졌던 청어 과메기도 부활했다. 이처럼 포항의 과메기가 구룡포에 집대성되는 이유는 겨울에 부는 북서계절풍과 호미곶의 맞바람이 와류현상을 일으키는 곳이라 과메기를 말리기에 가장 적합해서다. 구룡포 인근의 바닷가에서도 과메기 생산에 나섰지만, 맛과 질은 확연히 차이난다는 게 구룡포 상인들의 말이다. 만드는 과정은 그저 야외에 널어놓고 얼렸다 녹이기를 반복하는 게 전부이지만, 기후 조건에 따라 과메기 내에서는 무수한 변화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MK스타일 이진욱 기자/도움말 사진제공 : 월간 여행스케치]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카드뉴스] 맛집지도- 광화문 백반집 6선
- ★들의 겨울 패션 아이템, 다채로운 머플러 스타일링
- ★들의 개성 표출, 앤드로지너스 룩으로 스타일링
- [카드뉴스] 연말모임 눈길 사로잡을 패션아이템 '터틀넥'
- '공개 커플 여자 ★' 가인-수지-김소연, 여친룩의 정석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