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 찬성표' 확인한 비박계, 당 장악 성공할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234표라는 압도적인 찬성으로 가결되면서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가 본격적으로 당 쇄신에 나설 전망이다.
비박계 외에 친박 또는 중립 성향 의원들도 상당수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이다.
어찌됐든 새누리당 의원 절반가량은 반대표를 던진 셈이고 찬성표를 던졌다고 해서 인적 청산 등 비박계의 당 쇄신 방안에 모두 동의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진상현 기자] [[the300]인적 청산 성공 여부가 관건…친박계 저항시 갈등 증폭, 분당 가능성 여전]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234표라는 압도적인 찬성으로 가결되면서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가 본격적으로 당 쇄신에 나설 전망이다. 주류 친박(친박근혜)계가 저항에 나서고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분당 수순을 밟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날 박 대통령 탄핵안 가결로 비박계가 당 주도권을 쥘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게 중론이다. 비박계 외에 친박 또는 중립 성향 의원들도 상당수 찬성표를 던진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이다. 전체 찬성표가 234표로 야 3당과 무소속 172명이 모두 찬성표를 던졌다고 해도 새누리당에서 최소 62명의 찬성표가 나온 셈이다. 비박계 35~40명 외에도 친박 또는 중립 성향의 의원 20여명이 추가로 찬성 대열에 합류했다는 의미다.
비박계는 압도적인 탄핵안 처리의 여세를 몰아 인적 청산 등 당 쇄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10% 중반으로 추락한 당 지지율을 끌어올리고 민심을 되돌리기 위해선 박 대통령의 국정 실패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핵심 친박 인사들과의 결별이 필수적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비박계 중진인 정병국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에 출연해 "통과되면 벌써 사퇴했어야 하는 지도부는 즉각 사퇴해야 하고, 새누리당은 청산 절차를 밟아야 한다"면서 "새누리당이 보수의 입장을 제대로 대변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제 건전한 보수세력에게 그 자리를 넘겨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박계는 '친박 부역자 5인' 또는 '10인' 등과 같이 구체적으로 핵심 인물을 찍어 출당시키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탄핵 흐름을 주도한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의원이 당 쇄신 과정에서도 중심 역할을 할 전망이다.
여전히 당 쇄신 작업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어찌됐든 새누리당 의원 절반가량은 반대표를 던진 셈이고 찬성표를 던졌다고 해서 인적 청산 등 비박계의 당 쇄신 방안에 모두 동의하는 것으로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친박계는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질 때마다 김무성 전 대표 등 비박계의 ‘공동 책임론’을 거론해왔다. 친박계가 순순히 물러나기보다 탄핵 민심이 어느 정도 가라앉은 후 재반격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양측의 대립이 장기화될 경우엔 비박계가 결국 탈당이나 분당을 선택할 가능성이 있다. 당 갈등이 계속될 경우 민심이 계속 악화될 수 있고 촉박한 대선일정 등을 감안하면 당 밖으로 나와 새로운 거점을 세우는 쪽을 선택할 수 있다.
새누리당이 분당된다면 선도 탈당파인 남경필 경기도지사, 김용태 의원, 제3지대에 있는 정의화 전 국회의장, 야권의 국민의당 등과 복잡한 이합집산을 거치면서 정계 개편이 가속화될 전망이다.
진상현 기자 jisa@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