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 우병우 은신처 직접 확인, 장모 김장자는 도피 중

2016. 12. 6. 17:38
번역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21] 우병우 전 민정수석, 장모 김장자씨의 실 거주지인 강남 모 빌라에 은신해 있었던 것으로 확인, 인터뷰 요청에는 불응

우병우 전 민정수석의 은신처로 의심되는 장모의 집. 정용일 기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의 증인 출석을 거부해온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자신의 장모인 김장자 삼남개발 회장 집에 은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겨레21>은 6일 김 회장 실거주지인 서울 논현동 주택지를 찾아 우 전 수석의 거취를 추적하고 있다. <한겨레21> 취재 내용을 확인한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에 우 전 수석의 동행명령권 발부를 요청했고, 이날 저녁 늦게 국회는 우 전 수석의 신병 확보에 나섰다.

우병우 전 수석의 '가출 투쟁'

이날 우 전 수석의 한 지인은 <한겨레21>에 “우 전 수석이 국정조사 출석을 앞두고, 나란히 국정조사 증인으로 채택된 장모 김 회장의 서울 논현동 집에서 지내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제보했다. <한겨레21>은 이날 오전까지 우 수석이 김 회장 집에 있었던 게 틀림없다는 뼈대의 제보 내용과 정황이 상당히 구체적이고, 믿을 만하다고 판단했다.

우 전 수석은 장모 김장자 회장과 함께 이번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의 주요 증인으로 채택돼 7일 출석이 예정돼 있었다. 하지만 우 전 수석은 출석요구서가 송달된 서울 강남의 주민등록상 주소지를 비우는 방법으로 사실상 출석을 회피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현행법상 국정조사 출석요구서를 수령하지 못한 경우, 국정 조사에 출석하지 않아도 처벌할 수 없다. 이번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해 여야 국조 위원들이 이른바 '가출 투쟁'이라고 비판하는 행태다.

또 김 회장 역시 송달 주소지인 삼남개발 사업장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출석요구서가 전달되지 않았다. 김 회장은 ‘비선실세’ 최순실씨를 통해 사위인 우 전 수석의 인사 문제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아 국정조사 증인으로 채택됐다.

<한겨레21>은 이날 오전 이른 시간부터 김 회장의 자택이 있는 빌라를 찾았다. 높은 담벼락과 전용 주차공간을 3곳이나 보유한 고급빌라였다. 김 회장 자택에 배정된 전용주차 공간에는 한 대의 차량이 있었다. 김 회장은 새벽 일찍 차량을 통해 외부에 나간 상태였다. 외부에서 바라본 김 회장의 자택에는 창을 통해 성인으로 보이는 흐릿한 실루엣이 창가쪽으로 어른거렸다. 그러나 빛을 반사하도록 만들어진 외부 창 탓에 김 전 수석인지 확정하기 어려웠다. 취재진이 찾은 김 회장의 자택 안에서 작은 목소리가 들렸다. 여러 차례 초인종을 눌렀는데도, 현관문은 열리지 않았다. 우 전 수석이 내부에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우 전 수석이 가진 것으로 알려진 휴대전화 두 대로 전화를 걸어봤다. 그러나 조금 전까지 신호가 걸리던 휴대전화는 그사이 꺼져있었다.

집 주인인 김 회장 역시 이날 새벽 6시 40분께부터 일찌감치 집을 비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현장을 찾았을 때, 김 회장이 타고 이동한 것으로 알려진 검은 벤츠 차량은 주차장을 비운 상태였다. 김 회장은 우 전 수석과 같은 날 국정조사 증인으로 채택된 가운데 역시 회사로 송달된 출석요구서를 수령하지 않아 사실상 국조 출석을 피할 수 있는 상황이다.

동행명령권 발부 요청, 국회는 거소 확인 절차 마쳐

이날 오후 같은 내용의 제보를 받은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에 대한 동행명령권 발부를 김성태 국조특위 위원장에게 요청했고, 6일 오후 5시 현재 국회는 거소 확인을 위해 우 전 수석의 은신처로 국회입법조사관과 경호기획관실 직원을 각각 한명씩 급파했다. 그러나 입법조사관은 증인이 자택 등에 숨을 경우, 강제로 소재 파악할 권한이 없어 김 회장 자택 앞에 출석요구서를 두고 오는 것으로 거소 확인 절차를 마쳤다.

앞서 김성태 국정조사특위 위원장은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증인들을) 국정조사장에 세우겠다. 7일 국조에 세우지 못할 겨우 14일과 15일 예정된 3·4차 청문회에 다시 증인으로 부르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완 기자 funnybone@hani.co.kr

홍석재 기자 forchis@hani.co.kr

정환봉 기자 bonge@hani.co.kr

독자  퍼스트  언론,  <한겨레21>  정기구독으로  응원하기!
전화신청▶ 02-2013-1300 (월납 가능)

인터넷신청▶ http://bit.ly/1HZ0DmD 카톡 선물하기▶ http://bit.ly/1UELpok

공식 SNS [통하니][트위터][미투데이] | 구독신청 [한겨레신문][한겨레21]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2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검색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