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남 특수활동비, 우병우 시절 청와대 유입 의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수남 검찰총장의 특수활동비가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재임 시절 청와대에 전달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30일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 제1차 기관보고에서 "검찰총장의 특수활동비가 현금으로 인출돼 청와대 민정수석실에 건네졌다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수남 검찰총장의 특수활동비가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재임 시절 청와대에 전달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30일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국조특위)’ 제1차 기관보고에서 “검찰총장의 특수활동비가 현금으로 인출돼 청와대 민정수석실에 건네졌다는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또 “우 전 수석 시절 얘기인데 검찰이 조사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창재 법무부 차관은 “(검찰총장의) 특수활동비는 관리가 엄격하다”며 “그 부분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검찰은 또 우 전 수석의 변호사 시절 탈세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홍만표 전 검사장이 1년4개월 동안 100억원 정도 매출을 올렸고 10억원 탈세로 구속됐다. 우 전 수석도 1년 만에 100억원대 수임한 의혹이 있는데 수사하고 있느냐”고 질의하자 이 차관은 “그런 부분을 살펴보고 있다”고 했다.
이른바 ‘정호성 녹음파일’도 논란이 됐다. 일부 언론은 앞서 이 녹음파일에 최순실씨가 정호성 전 부속비서관에게 대통령을 독촉하라고 하자, 정 전 비서관이 ‘하명대로 하겠다’고 답변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보도했었다.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이 이 차관에게 “녹음파일 내용을 알고 있느냐”고 묻자 이 차관은 “그런 내용이 담긴 녹음파일은 압수물 중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당시 찬성 결정을 내린 국민연금공단의 전 투자심의위원이 검찰의 압수수색 직전 사용하던 휴대전화를 교체하고 ‘가짜 휴대전화’를 제출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전 투자위원이었던 신모 팀장은 박영선 의원이 휴대전화 교체 시점을 묻자 “고장이 나서 휴대전화를 바꾼 것”이라고 대답했다. “고장 난 휴대전화는 어디 있느냐”는 질문에는 “집에 있는 쓰레기통에 버렸다”고 말했다.
국조특위는 대검찰청 기관증인으로 채택되면서 증인으로 나올 예정이던 김수남 총장이 출석하지 않아 오전 내내 파행이 계속됐다. 국조특위 위원들이 거듭 요구했지만 김 총장은 끝내 출석하지 않았다.
백상진 고승혁 기자 sharky@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