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서울대병원, '故 백남기 病死 기재 교수' 보직해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고 백남기 농민 주치의로 사망진단서에 사인(死因)을 일반적 지침과 달리 ‘병사(病死)’로 기재해 논란을 일으킨 서울대병원 백선하 교수(신경외과 과장)가 과장직에서 보직 해임된다. 그러나 올 7월 과장에 연임(2014년 7월 임명)된 백 교수가 이후 4개월여 만에 자리에서 물러나는 셈이어서 백남기 씨 사망진단서 문제로 빚어진 사회적 논란과 서울대병원에 쏟아진 각계의 비판에 대해 책임을 지고 물러나는 모양새라는 게 병원 안팎의 평가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아일보]
고 백남기 농민 주치의로 사망진단서에 사인(死因)을 일반적 지침과 달리 ‘병사(病死)’로 기재해 논란을 일으킨 서울대병원 백선하 교수(신경외과 과장)가 과장직에서 보직 해임된다. 그동안 백남기 씨 유족은 사망진단서의 수정과 백 교수의 과장직 보직 해임을 요구해 왔다.
그러나 올 7월 과장에 연임(2014년 7월 임명)된 백 교수가 이후 4개월여 만에 자리에서 물러나는 셈이어서 백남기 씨 사망진단서 문제로 빚어진 사회적 논란과 서울대병원에 쏟아진 각계의 비판에 대해 책임을 지고 물러나는 모양새라는 게 병원 안팎의 평가다.
지난해 11월 14일 시위 도중 물대포를 맞고 쓰러져 올해 9월 25일 숨진 백 씨의 사인에 대해 주치의인 백 교수는 사망진단서에 ‘외인사(外因死)’가 아니라 심폐정지에 의한 병사로 기록해 사회적으로 큰 파문을 낳았다.
이에 대해 유족과 시민·사회단체는 “병사가 아니라 외부 원인, 즉 경찰의 물대포 직사(直射)에 따른 것”이라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반발했다. 또 이후 서울대병원과 서울대 의대 합동 특별조사위원회가 “병사로 기록한 사망진단서는 일반적인 지침과 다르게 작성됐다”고 결론을 내리기도 했다.
사망진단서에 대한 외압 논란도 일었으나 백 교수는 오히려 “백 씨가 받아야 할 치료를 적절히 받지 않았다”고 주장하면서 논란이 커졌다. 백 씨의 유족과 ‘백남기 투쟁본부’ 측은 “의료진이 소생 가능성이 없다고 했기 때문에 고통을 주는 진료를 거부한 것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그러나 서울대병원 특별조사위는 백 씨의 사망진단서가 일반적인 지침과 다르다는 결론을 내놓고도 진단서를 고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임현석 기자 lhs@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어제 못본 TV 명장면이 궁금하다면 'VODA'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靑 "법대로 하자" 벼랑끝 싸움.. 차관 임명 내치권한도 행사
- [단독] "정유라 지도 감독, 성폭행 피소..崔 측근이 은폐"
- '대통령의 내시' 자처 이정현도 뚫지 못한 철벽 뚫은 두 사람
- [단독] 이대 특기자 전형 소지품 금지 어기고 정유라만..
- [단독]"우병우, 윗선과 정리된 사건이라며 수사 중인 검사를.."
- 朴대통령 지지율 9.9%, 첫 한 자릿수 추락..이재명 10%대 진입
- '음주운전-측정거부' 조원동 전 靑수석 2심도 집유
- 북한 100년 만의 최악 홍수..김정은 눈엣가시 해결해준 셈?
- [단독] 췌장암, 간편 혈액검사로 조기 진단 세계 첫 개발
- "수능, 6·9월 모의평가와 유사한 수준에서 출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