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AI 기반의 번역 서비스 출시..맥락까지 고려한 번역
알파고 바둑 배울 때 사용한 방식
정답 문장과 함께 가중치 줘서 스스로 학습
맥락까지 파악, 더 정확한 번역 가능
한, 미, 중, 일 등 8개국 언어 시작
[아시아경제 안하늘 기자] 구글이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사람처럼 번역해주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자동번역 서비스(NMT, Neural Machine Translation)'를 시작했다.
15일(현지시간) 구글은 공식 블로그를 통해 구글 번역 애플리케이션에 NMT 서비스를 적용했다고 밝혔다. 구글은 우선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터키어 등 8개국 언어에 대해 서비스를 시작한다. 인공신경망은 이세돌 9단을 이긴 구글 인공지능 알파고가 바둑을 학습하는 데도 쓰인 기술이다.
구글은 "이는 전 세계 인구의 1/3이 쓰는 언어이며, 구글 번역 쿼리의 35%를 커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구글은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103개 언어로 향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NMT 기술은 마치 사람이 생각하는 구조처럼 인공의 신경망을 구축하고, 사람이 판단하는 것처럼 생각해서 결과물을 내놓는다. 컴퓨터에 번역 문장과 정답 문장을 입력하고, 컴퓨터가 다른 상황에서도 정답을 맞히면 가중치를 부여하면서 스스로 더 적합한 답을 찾는 과정을 지속한다.
그동안의 번역 기술은 통계적 자동번역이 대세였다. 어휘와 문법을 동원한 언어학적 접근(규칙 기반)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통계학적 접근이다. 하지만 한국어와 영어처럼 어순이 전혀 다른 언어에서는 부정확한 결과를 내놓았다. 문장 전체로 통계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어휘나 구별로 나눠서 계산하기 때문이다.
NMT 방식은 문장 전체의 맥락에서 그 안의 구성 요소들을 변환하면서 해석, 번역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문장 안에서 단어의 순서, 의미, 문맥에서의 의미 차이 등을 반영할 수 있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번역이 가능하다.
한편 네이버도 지난달 이 기술을 모바일 통역앱 '파파고'에 적용하며 번역 정확성을 높였다. 파파고는 현재 전문 번역업체, 제휴, 이용자 CS 등을 바탕으로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보강해 정확도를 높여나가고 있다.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4개 국어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안하늘 기자 ahn708@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40대 남성과 부딪혔어요"…20대 여성, 남자친구와 통화했다가 '어?' - 아시아경제
- SKT 유심교체 하루 15만개… 모두 바꾸려면 최소 6개월 걸려 - 아시아경제
- "대치동은 무서워요"…연간 학비 3000만원, 연예인 자녀들 몰리는 이 학교 - 아시아경제
- "14세에 시작, 100번 했지만 만족스럽지 않아"…'성형 광풍' 中 외신도 경악 - 아시아경제
- "너무 많이 차린다 했더니"… 청년들 뛰어들었다 '한숨' 쉬게 만든 업종 - 아시아경제
- "어금니 빠지는 꿈, 해몽 해줄래"…눈물 '쏙' 나오게 한 GPT '의외의 답변' - 아시아경제
- 당뇨 걸리신 분 특히 주의…화장실 '분홍 얼룩' 충격 정체 - 아시아경제
- "한국 여성들 위험해질 것"…'소녀상 모욕' 美 유튜버, 무도한 극언 - 아시아경제
- 1대는 무료, 4대는 52만원…아파트 공지문에 "우리도 도입하자" - 아시아경제
- "차 빌리는 곳 멀어" 택시 잡았는데…이제, 집으로 차 부른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