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AI 기반의 번역 서비스 출시..맥락까지 고려한 번역
알파고 바둑 배울 때 사용한 방식
정답 문장과 함께 가중치 줘서 스스로 학습
맥락까지 파악, 더 정확한 번역 가능
한, 미, 중, 일 등 8개국 언어 시작
[아시아경제 안하늘 기자] 구글이 인공지능(AI)를 활용해 사람처럼 번역해주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자동번역 서비스(NMT, Neural Machine Translation)'를 시작했다.
15일(현지시간) 구글은 공식 블로그를 통해 구글 번역 애플리케이션에 NMT 서비스를 적용했다고 밝혔다. 구글은 우선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터키어 등 8개국 언어에 대해 서비스를 시작한다. 인공신경망은 이세돌 9단을 이긴 구글 인공지능 알파고가 바둑을 학습하는 데도 쓰인 기술이다.
구글은 "이는 전 세계 인구의 1/3이 쓰는 언어이며, 구글 번역 쿼리의 35%를 커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구글은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103개 언어로 향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NMT 기술은 마치 사람이 생각하는 구조처럼 인공의 신경망을 구축하고, 사람이 판단하는 것처럼 생각해서 결과물을 내놓는다. 컴퓨터에 번역 문장과 정답 문장을 입력하고, 컴퓨터가 다른 상황에서도 정답을 맞히면 가중치를 부여하면서 스스로 더 적합한 답을 찾는 과정을 지속한다.
그동안의 번역 기술은 통계적 자동번역이 대세였다. 어휘와 문법을 동원한 언어학적 접근(규칙 기반)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통계학적 접근이다. 하지만 한국어와 영어처럼 어순이 전혀 다른 언어에서는 부정확한 결과를 내놓았다. 문장 전체로 통계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어휘나 구별로 나눠서 계산하기 때문이다.
NMT 방식은 문장 전체의 맥락에서 그 안의 구성 요소들을 변환하면서 해석, 번역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문장 안에서 단어의 순서, 의미, 문맥에서의 의미 차이 등을 반영할 수 있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번역이 가능하다.
한편 네이버도 지난달 이 기술을 모바일 통역앱 '파파고'에 적용하며 번역 정확성을 높였다. 파파고는 현재 전문 번역업체, 제휴, 이용자 CS 등을 바탕으로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보강해 정확도를 높여나가고 있다.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4개 국어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안하늘 기자 ahn708@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요 부위' 노출에도 우승한 美 육상선수…"속옷 광고 찍자" 잇단 러브콜 - 아시아경제
- "음식도 맛있고, 숙소도 싸고, 최고"…지갑 가벼운 내 입맛에 딱 - 아시아경제
- 유럽여행 앞뒀는데 걱정 태산…"전역이 뒤덮였다, 9~10월까지 계속" - 아시아경제
- 내가 먹던 그 크림빵, 사려다 '멈칫'..."1900원짜리가 왜 여기선 2500원이죠?" [빵값의 비밀] - 아시아
- "일본 여행 못가" 130년 만의 폭염…하루만 51명 응급실행 - 아시아경제
- "계획적이고 수위 높아"…신세경 450여차례 협박한 악플러 징역형 - 아시아경제
- 당뇨병 전 단계에 있다면, 매일 '콩 한 컵' 어떠세요? - 아시아경제
- "여교사와 초등학생 제자의 로맨스" 드라마 제작 논란의 웹툰, 줄줄이 판매 중단 - 아시아경제
- 노래방 도우미 불러 라이브 방송한 공무원 "복지포인트로 유흥비 마련" 자랑도 - 아시아경제
- 언니 회사에 안 돌아오자 둘째 딸 등판…아모레 '유력 후계자' 변화?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