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정윤회 문건에 이미 최순실 거론됐다
청와대는 문건이 보고된 2014년 1월6일 전후, ‘정윤회 문건’을 수사한 검찰은 수사에 착수한 그해 12월 전후 이미 최씨의 존재와 국정농단 가능성을 인지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당시 문건을 ‘찌라시’라고 규정하며 사건 프레임을 설정한 박근혜 대통령이나 ‘누설은 쓰레기 같은 짓’이라며 수사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진 김기춘 전 비서실장, 문건유출 수사로 몰아간 우병우 당시 민정비서관에 대한 관련 수사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클릭하면 큰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세계일보 특별취재팀이 13일 관련 문건을 검증한 결과 2014년 1월6일 청와대에 보고된 공식 문건 등에는 본지가 이미 공개한 정씨의 인사 및 국정개입 첩보와 함께 최씨도 거론돼 있었다.
문건의 ‘동향 보고 대상자 인적사항’란에는 정씨를 적시하면서 “고 최태민 목사의 5녀 최순실의 부(夫)”라고 기록돼 있었다. 이와 함께 ‘최근 동향’란에도 “정윤회는 한때 부인 최순실과의 관계 악화로 별거했지만 최근 제3자의 시선을 의식해 동일 가옥에 거주하면서 ‘각방’을 사용하고 있다고 함”이라고 최씨가 거론돼 있었다.
특히 공식 문건 작성을 위한 ‘초안’ 성격의 ‘시중여론’에는 정씨 관련 첩보와 함께 최씨의 국정개입이나 그 영향력을 추정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는 정씨와 ‘문고리 3인방’을 포함한 이른바 ‘십상시’들과의 모임에서 “이 나라 권력 서열 1위는 최순실, 2위는 정윤회, 3위는 박근혜”라는 ‘극치의 말’이 오갔다고 적혀 있었다.
‘권력 서열 1위 최순실’ 구절은 박관천 전 경정(전 청와대 행정관)이 검찰 조사에서 거론하며 세간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당시 청와대와 검찰은 이들 문건을 통해 비선실세의 존재 또는 국정 개입이나 농단 가능성을 알 수 있었음에도 문건유출에만 수사력을 집중해 본질 규명에 실패했다. 이에 따라 국가적 위기를 낳은 최씨의 국정농단 사태를 예방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오히려 은폐 또는 방조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됐다.
특별취재팀=김용출·이천종·조병욱·박영준 기자 kimgija@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문건 3개 버전서 '최순실과 별거.. 각방 사용' 등 거론
- “그냥 못 보겠다”…백종원, ‘90도 사과’ 뒤 곧장 달려간 이곳
- “보기 싫어!” 이재명 얼굴 친 이재민…지지자들, 기부 ‘취소’ 행렬
- 아빠 유전자 5% + 엄마 미모 몰빵…개그맨 오지헌 딸들 ‘믿기지 않는 외모’
- 전남편 15억 빚 갚는 중…61세 박해미 세 번째 결혼? 상대 누군가 했더니
- 방송서 속옷까지 벗었다... “정자 1억 개” ‘54세’ 男개그맨 정체
- “요즘 女공무원 너무 많아…산불 투입 어렵지” 울산시장 발언 논란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