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파, 식민사학의 찌꺼기들" 이종욱, 고대 역사전쟁 포문 열다

2016. 11. 9. 03: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강대 석좌교수 '상처받은 신라..' 출간.. 노태돈 명예교수 주축 국내 사학계 주류진영 정면비판

[서울신문]국내 사학계의 태두로 불리는 이병도·손진태의 학맥을 잇고 있는 이른바 ‘서울대학파’에 대해 ‘일제 식민사학의 찌꺼기들’, ‘한국사를 날조하고 망상해 온 집단’이라는 원색적 비난을 담은 학술서가 나왔다. 한국 사학계의 뿌리 깊은 고대사 갈등이 재현될지 주목된다.

논쟁적 학술서인 ‘상처받은 신라-그 안에 한국인 정체성의 원점이 있다’를 출간해 공개적으로 서울대학파를 비판하고 나선 이종욱 서강대 석좌교수는 “한국사학을 정상적인 역사의 길로 이끌기 위해 벌이는 역사전쟁”이라며 “서울대학파를 벗어나고자 하는 고대사 연구자들을 환영한다”고 말했다.연합뉴스

한국고대사탐구학회를 설립하고 서강대 총장을 지낸 이종욱(70) 서강대 석좌교수가 포문의 당사자다. 이 석좌교수는 8일 펴낸 ‘상처받은 신라-그 안에 한국인 정체성의 원점이 있다’(서강대출판부)를 통해 서울대 중심의 주류 사학계와의 일전을 예고했다. 책에는 삼국사기 초기 기록 인정, 신라 부체제설, 화랑세기 진위 논쟁 등 고대 사학계의 뜨거운 감자가 총망라됐다.

이 석좌교수는 서울대학파의 중심 인물인 노태돈(67) 서울대 명예교수와 그의 제자들인 이른바 ‘노태돈 사단’ 학자들을 실명으로 거론하며 “제국주의 일본학자 쓰다 소키치를 추종하며, 폐쇄적인 학문 권력으로 ‘그들만의 역사’를 만들어 온 날조 학자”들이라고 직설적으로 비난했다. 책 서문에도 “한국 사학을 정상적인 역사의 길로 이끌기 위한 역사전쟁”이라고 서술했다.

고대 사학계에서 이 석좌교수를 주축으로 한 비주류 진영의 공세에 맞서 그동안 사사건건 대립해 온 노 명예교수 등 주류 진영이 반박에 나설지 주목된다.

노태돈 서울대 명예교수

이 석좌교수의 고대사 공박 지점은 세 갈래로 나뉜다. 첫 번째 지점은 쓰다 소키치(1873∼1961)의 역사 방법론을 계승하며, 현재까지도 삼국사기 신라본기 등 초기 기록을 사료로 인정하지 않고 있는 주류학계에 대한 비판이다. 두 번째는 노 명예교수가 중심인 ‘신라 부체제설’(部體制說) 논박이다. 세 번째는 1995년 4월 전국역사학대회에서 이 석좌교수와 노 명예교수가 격돌했던 ‘화랑세기(花郞世紀) 필사본’에 대한 진위 논쟁이다.

이 석좌교수는 신라 내물왕 이전의 역사를 부인하고 있는 주류 사학계가 쓰다 소키치를 무비판적으로 추종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쓰다 소키치는 일본 근대 실증사학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그는 내물왕 이전 시기의 역사를 허구로 주장하며 고대 왜가 한반도를 식민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 논리를 편 당사자다. 쓰다 소키치는 1919년 출판한 ‘고사기 및 일본서기 연구’에서 삼국사기 백제본기는 근초고왕대(346~375) 기록부터 믿을 수 있다고 했고, 신라본기의 경우 실성왕대(402~417) 이전 기록은 허구라고 몰아붙였다.

쓰다 소키치의 제자인 이병도 역시 삼국사기 초기 기록을 부정했다. 이와 관련, 지난달 타계한 최재석 고려대 명예교수는 평소 쓰다 소키치에 대해 한국고대사를 뒤틀리게 만든 장본인이라고 혹독히 비판했었다.

이 석좌교수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쓰다 소키치의 주장은 그의 제자들인 이병도·손진태를 거쳐 현재의 서울대학파 5세대 학자들에게도 이어지고 있다”며 “서울대학파야말로 한국인 정체성의 원점에 대한 역사를 은폐·말살해 온 당사자들이며 한국사 자체에 위기를 초래해 온 장본인”이라고 원색적 비판을 굽히지 않았다.

신라 부체제설 역시 당대 사학계의 격렬한 논쟁거리였다. 신라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이 등장하는 6세기 이전까지는 신라가 6개 부의 연합정권으로 왕은 일개 부의 대표자였다는 학설이다. 2004년 별세한 이기백 서강대 명예교수를 거쳐 노 명예교수가 체계를 구성한 지배적 이론이지만 이 석좌교수 등 부체제설 반대론자들은 지속적으로 반론을 제기해 왔다.

이 문제는 신라가 언제부터 중앙집권적인 국가가 됐는지, 그 시점에 따라 신라본기 초기 기록의 신뢰 여부와 연관돼 있다. 고대사에 대한 해석이 달라질 수 있어 쟁점이 됐다. 이 석좌교수는 6세기 이전부터 신라는 강력한 중앙집권국가로 발전해 정복전쟁을 벌인 만큼 고대사를 재집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1989년 부산에서 발견된 ‘화랑세기’ 공방은 노 명예교수 측이 ‘가짜’로, 이 석좌교수 측은 ‘진짜’로 주장하며 20년 넘게 맞붙어 온 사안이다. 통일신라 김대문이 쓴 것을 일본 궁내성 도서관의 조사사무 촉탁인 박창화씨가 필사한 것으로 한국 고대사의 미스터리가 됐다.

이 석좌교수의 비판과 관련해 노 명예교수는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이 교수가 새로운 증거나 자료를 제시했느냐”고 반문하면서 “이 교수가 새로운 근거도 없이 과거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는데 대다수 고대 사학자들은 이 교수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교수와 더이상 논쟁하고 싶지 않다”면서도 “이 교수가 쓴 책은 읽어 보겠다”고 말했다.

사학계에서는 이 석좌교수가 특정 학맥에 대한 수위 높은 비판을 제기하며 수면 아래에 있던 주류와 비주류 간의 고대사 논쟁을 되살려 내려는 의도가 아니겠느냐는 평이 나온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 환경보호 하느라 샤샤샤~ 알뜰살뜰 아이디어 넘치는 당신이라면? (6월 19일까지 참여하세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