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갤럭시노트7 이용자, 절반 이상 아이폰7으로 교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갤럭시노트7 이용자들이 아이폰7 출시 전에는 V20로 교환한 비율이 높았으나, 아이폰7 출시 이후에는 아이폰7으로 빠르게 갈아탄 것으로 나타났다. 교환·환불이 시작된 10월13일부터 아이폰7의 국내시장 출시 전날인 10월20일까지 갤럭시노트7을 엘지(LG)전자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V20로 교환한 비율은 53.6%(2만1250대)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애틀러스 리서치앤컨설팅 조사 결과
아이폰 출시 전에는 절반 넘게 V20 선택
갤럭시노트7 이용자들이 아이폰7 출시 전에는 V20로 교환한 비율이 높았으나, 아이폰7 출시 이후에는 아이폰7으로 빠르게 갈아탄 것으로 나타났다. 갤럭시노트7 이용자들이 운영체제(OS)가 다른 아이폰으로 교환하는 비율이 높지 않을 것이라고 본 삼성전자 등의 예측과는 다른 결과다.
정보통신 전문 시장조사회사인 애틀러스 리서치앤컨설팅은 아이폰7 출시 전·후의 갤럭시노트7 교체 물량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교환·환불이 시작된 10월13일부터 아이폰7의 국내시장 출시 전날인 10월20일까지 갤럭시노트7을 엘지(LG)전자의 프리미엄 스마트폰 V20로 교환한 비율은 53.6%(2만1250대)로 나타났다. 이어 삼성전자의 갤럭시S7 엣지 26.2%, 갤럭시노트5 7.9%, 갤럭시S7 7.2% 등 순이었다. 그러나 아이폰이 출시된 10월21일부터 11월2일까지는 아이폰7과 아이폰7 플러스로 교환한 비율이 58.6%(5만6805대)였다. 이어 V20 10.4%, 갤럭시S7 엣지 11% 순이었다.
교환·환불 대상 갤럭시노트7 국내 물량은 모두 55만대 정도로 10월13일부터 11월2일까지 13만6000여대가 교환돼 25%의 교환율을 보였다. 아이폰7 출시 전까지 10%를 밑돌던 비율이 이 기간에 15%포인트 증가한 것에는 이동통신사들이 아이폰7 판매에 적극 나선 점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이폰7·아이폰7 플러스는 38만여대가 팔려 이 기간에 팔린 휴대전화 단말기 판매량(82만여대)의 46%를 차지했다.
장중혁 애틀러스 리서치앤컨설팅 부사장은 이에 대해 “아이폰7 출시 전에는 가장 최근 출시된 프리미엄폰인 데다 보조금도 많이 주는 V20을 많이 선택했고, 아이폰7 출시 뒤로는 안드로이드폰에 대한 충성도가 높지 않아 아이폰7으로 갈아타려고 기다린 이용자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이동통신업계는 갤럭시S7 엣지 물량이 달린다는 것도 이유로 꼽는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삼성에서 내놓은 보상 프로그램이 기대에 못 미치는 데다 대체재도 부족해 삼성 단말기에서 이탈하는 고객도 많은 것 같다”며 “교환과 판매가 동시에 이뤄지다 보니 최근 물량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이충신 기자 csl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단독] “조윤선 장관이 예술인 블랙리스트 작성 주도”
■ 고교생 ‘최순실’ 대자보 옆에 교사는 “여러분이 자랑스럽다”
■ [영상] 박대통령 코앞에서 야당 의원들 ‘하야’ 피켓시위
■ [영상] 대구 여고생 “최순실이 아니라 박근혜가 본질” 연설 화제
■ ‘박사모’에 등장한 “박근혜 하야하라”…비밀은 세로드립?
▶ 발랄한 전복을 꿈꾸는 정치 놀이터 [정치BAR]
▶ 콕콕 짚어주는 [한겨레 카드뉴스][사진으로 뉴스 따라잡기]
▶ 지금 여기 [사설·칼럼][한겨레 그림판][신문구독]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