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CJ가 1조4000억 투자한 K컬처밸리는 차은택 주력 사업
지난 2월 서울 상암동 CJ E&M 본사에서 열린 문화창조융합벨트 출범식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해 축사를 했다. 이곳에는 문화창조융합센터도 마련됐다. 같은 날 CJ E&M은 경기도 고양관광문화단지(한류월드)에 1조4000억원 규모의 한류 테마파크 ‘K컬처밸리’를 조성하는 투자의향서(LOI)를 경기도에 제출했다. 문화창조융합센터장은 강명신 CJ그룹 상무가 맡았다. 강 센터장은 차씨에 이어 2기 문화융성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고, 지난 9월 미르재단 이사에 선임됐다.
CJ그룹이 참여한 사업 중 가장 규모가 큰 건 K컬처밸리 조성이다. 1조4000억원이 들어가는 사업이다. 최씨가 기획한 문화창조융합벨트사업의 주력 사업이다. K컬처밸리가 들어서는 땅은 10년 넘게 사업자를 찾지 못하던 ‘한류월드’ 부지다. 경기도는 협약 6일 전 이 부지 일부에 ‘한류마루(가칭)’ 건립 계획을 도의회에 보고했고, K컬처밸리 사업이 진행되자 이를 취소했다.
시행자 공모 과정도 매끄럽지 않았다. 경기도는 지난해 9월에 낸 공고에서 본 계약 전까지 외국인 투자 비율을 충족하면 50년간 공시지가의 1%에 해당하는 싼값에 땅을 빌려주는 내용을 포함시켰다. CJ E&M은 기본협약 체결 한 달 뒤인 지난 6월에서야 싱가포르 투자자문회사인 방사완 브러더스로부터 50억원을 투자받아 요건을 충족시켰다. 방사완 브러더스는 지난해 5월 설립된 신생회사다.경기도의회는 “경기도와 CJ E&M이 헐값에 부지를 사용하기 위해 담합했다”며 행정사무조사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진상조사에 나섰다. 박용수 특위 위원장은 “외투기업으로 참여한 방사완이 산업통상자원부 심사를 통과한 건 사실이지만 계약 당사자인 경기도는 아무런 자료도 갖고 있지 않고, 방사완의 실체를 알기 위해 연락해 봤지만 싱가포르 현지에 존재하지 않는 유령회사로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CJ그룹 측은 “2014년 12월 문체부와 미팅을 하면서 한국 대표 콘텐트 기업인 CJ그룹 사업과 잘 맞는다고 판단해 사업에 참여하게 됐고 K컬처밸리 사업도 구상 중이던 테마파크 사업과 맞아떨어져 지난해 1월 경기도에 제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사완 브러더스에 대해서도 “글로벌 회계법인 감사 서류를 이미 경기도에 제출해 실체가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경기도 측도 “오랫동안 사업이 진행되지 못하던 땅에 대기업이 국가주도 사업을 한다는데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동현·문희철 기자 offramp@joongang.co.kr
▶ [속보] 새 총리 김병준, 경제부총리 임종룡 내정
▶ [단독] "대기업, 최순실 모녀에게 직접 수십억 건넸다"
▶ 친박 맏형 서청원, 비박에 "이정현 사퇴? 전쟁 하자"
▶ 혼자 밥먹고 설거지···최순실, 폭행 무서워 독방 요청?
▶ 검찰 조사 후 구치소 복귀하는 최순실 표정 보니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