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MS와 구글의 'HW 행보'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이 새로운 먹거리로 하드웨어(HW) 제품을 잇달아 내놓았다. MS는 26일(현지시간) 자사 역사상 처음으로 데스크톱PC `서피스 스튜디오`를 공개, 시선을 모았다. 12.5㎜라는 세계에서 가장 얇은 액정표시장치(LCD) 모니터를 장착한 이 제품은 미국 주요 언론이 일제히 보도할 만큼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1975년에 설립된 MS는 미국은 물론 세계를 대표하는 소프트웨어(SW) 업체다. `윈도`라는 컴퓨터용 운용체계(OS)를 앞세워 지난 20여년 동안 세계 개인용컴퓨터(PC) 시장을 주도해 왔다. 이런 SW 회사가 데스크톱PC를 처음으로 내놓으며 HW 시장에 뛰어들었다.
MS뿐만이 아니다. 세계 롤 모델 구글 역시 최근 전자칠판이라 불리는 55인치 화이트보드를 선보이며 내년에 시판하겠다고 밝혀 화제가 됐다. 이보다 앞서 구글은 이달 초 `픽셀`이라는 스마트폰을 선보여 역시 시장을 놀라게 했다. `픽셀 폰`은 구글이 처음으로 설계해서 내놓은 스마트폰이다. 지난 20일부터 미국, 영국, 캐나다 등에서 큰 관심 속에 판매되고 있다.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구글은 스마트홈용 인공지능(AI) 스피커, 가상현실(VR) 헤드셋, 가정용 무선기기 같은 HW도 내놓았다.
세계를 대표하는 두 SW 업체가 새로운 먹거리로 HW를 내놓은 건 무엇을 의미하는가. 특히 지금은 HW보다 SW, 플랫폼, 서비스가 더 각광받는 시기다. SW 플랫폼 및 서비스가 HW보다 수익성이 훨씬 높고, 시장 파괴력이 더 크기 때문이다. 이런 세계 흐름을 거스르는 것 같은 두 정보기술(IT) 거물의 행보가 시사하는 것은 자명하다. 중소기업이든 글로벌 기업이든 기업은 새로운 먹거리와 지속 성장을 위해 혁신의 몸부림을 멈추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 하나 잊지 말아야 할 것은 MS와 구글 두 회사의 HW 행보는 탄탄한 SW 파워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사실이다.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순실 게이트'에 대한민국 경제 묻히다
- 에너켐, 배터리 양극재용 황산니켈 국산화 성공..글로벌 넘버4 등극
- 오차 1m, GPS 기반 혁신 '꿈이 아닌 현실로'
- 朴대통령, 최순실 사태 대국민 사과 뒤 첫 부산行..민심은 싸늘
- [모션그래픽]'아재'소리 듣지 않으려면 이 정도는 알아야죠
- 일주일에 술 8잔 이상 마시면… “13년 더 일찍 죽는다”
- 학교 운동회서 달리기 1등한 엄마, 알고 보니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기획] K리커머스, 소비 넘어 수출로 〈2〉역직구가 뜬다…중고품 수출 제도 개선 시급
- “케냐의 제임스 본드”…연회장서 헬기에 매달린 남성
- 테슬라, 보급형 모델Y 출시 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