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100대 1..청약경쟁률의 '꼼수 계산법'

이승현 입력 2016. 10. 27. 15:46 수정 2016. 10. 27. 15:5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이승현 기자] 얼마 전 한 부동산 카페에 올라온 글이다. “경기도 안산에서 문을 연 A아파트 모델하우스에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 7만명이 몰렸다고 하는데, 모델하우스 개관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하루 8시간, 3일이면 24시간, 그럼 1분에 48명씩 계속 들어왔다는 얘기냐. 내가 가봤는데 그렇게까지 사람 많지 않던데 어떻게 된 거냐.”

분양업체들이 아파트 분양 홍보를 하는 방식은 간단하다. 우선 모델하우스를 언제 여는지를 알리고 모델하우스 개관 후 주말까지 사흘 동안 몇 명이 찾았는지를 공개한다. 이후에는 청약을 받은 결과 몇 대 1의 경쟁률이 나왔는지를 밝힌다.

문제는 이런 정보가 투명하지 않다는 것이다. 모델하우스 집객은 아파트 분양업체가 임의대로 진행한다. 이 숫자가 정확한 것인지 담보할 수 있는 장치는 아예 없다. 따라서 수천명씩, 때론 수만명씩 숫자를 부풀리는 것은 일도 아니다. 그러니까 카페에 올라와 있는 글과 같은 불만이 나오는 것이다.

청약경쟁률 부풀리기에는 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이 동원된다. 이는 업체가 마음대로 발표하는 게 아니라 금융감독원이 집계해 발표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게 한 단지를 블록별로 나눠서 분양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블록마다 중복청약이 가능해져 전체 청약경쟁률이 높아진다. 이런 꼼수를 부리기 어려운 단지에서는 단순 무식하게 회사 직원, 거래처 직원, 심지어 주변 중개업자까지 청약에 동원해 경쟁률을 높이기도 한다.

모델하우스에 얼마나 많은 사람이 찾았는지, 청약경쟁률이 얼마나 높게 나왔는지는 모두 그 아파트에 대한 관심과 인기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정보다. 수요자들은 이런 정보를 보고 이 아파트에 청약을 넣을지, 청약을 넣었다면 계약을 할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삼는다. 분양권에 웃돈이 붙는데도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이런 중요한 정보가 왜곡 유통되는데도 정부는 뒷짐만 지고 있다. 시장이 공정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투명한 정보 관리가 시급하다.

이승현 (eye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