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시작된 사람도 1주 3번만 걸으면 증상 좋아져
혈관성 치매 환자 연구…부작용 없고 약물만큼 효과
(서울=연합뉴스) 최병국 기자 = 치매 예방에도 운동이 좋다는 연구결과들은 많다. 그러나 이미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사람에게도 운동이 질병을 개선하거나 적어도 더 진전되는 것을 막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없었다.
23일 과학사이트 사이언스데일리 등에 따르면,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 테레사 류-앰브로스 교수팀은 혈관성 치매가 시작된 노인들에게도 운동이 좋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혈관성 치매는 고혈압이나 뇌졸중 등 여러 이유로 뇌혈관과 조직이 손상돼 일어나는 것으로 알츠하이머 다음으로 흔한 치매다. 기억력, 언어능력, 사고능력, 문제 해결 능력이 떨어지는 등의 인지장애가 진행되고 때에 따라 안면마비나 대소변실금 등 다른 이상 증상도 나타난다.
연구팀은 평균연령 74세이며 가벼운 혈관성 치매로 인지장애가 있는 노인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실험을 진행했다. 한 그룹은 보통 때처럼 간호받게 했다. 다른 그룹은 한 번에 1시간, 1주 3회 옥외에서 걷기운동을 6개월간 시켰다
그 결과 운동을 한 그룹의 경우 사고력 등의 인지장애 정도가 소폭 개선됐다. 또 혈압상태나 걷기 능력 등도 더 좋았다. 다만, 운동을 중단하면 이런 효과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을 하면 뇌에 직접 유용한 단백질들의 방출이 자극돼 뇌 신경세포의 생존과 성장에 도움이 되고 이에 맞춰 신경가소성이 작동되기 때문으로 연구팀은 설명했다. 신경가소성은 인간 뇌(신경)가 환경과 경험에 의해 변화하고 적응하는 것을 말한다.
류-앰브로스 교수는 현재 유용한 치매 치료법이 매우 드문 상황에서 비록 소폭이지만 이 정도 운동으로 약물과 맞먹는 수준의 개선 효과가 나타난 점은 고무적이라고 밝혔다. 또 운동은 약물과 달리 부작용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운동으로 걷기를 택했으나 치매 예방과 증상 개선 등에는 여러 유산소운동이 다 도움이 된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신경학회 발행 학술지 '신경학' 온라인판에 지난 19일(현지시간) 게재됐다
.
choibg@yna.co.kr
- ☞ "생활비 안주고 때려" 동거남 잠든 방에 휘발유 붓고 불질러
- ☞ 기무사, 소속장교 성매매 알선에 "참담…재발방지책 강구"
- ☞ '한류스타' 김수현, 프로볼러 도전…230점 안팎 빼어난 기량
- ☞ 박보검 '욘사마 열풍' 재현…50~70대 여성 팬들 열광
- ☞ 김경문 감독 "'박석민 점수 내라' 간절한 기도 통해"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2보] '주호민 아들 아동학대 혐의' 특수교사 항소심서 무죄 | 연합뉴스
- 어린이집서 6세 여아에 '볼 뽀뽀'한 40대 사진기사 징역형 집유 | 연합뉴스
- 손자 사망 급발진 소송 운전자 패소…법원 "페달 오조작 가능성"(종합) | 연합뉴스
- '홍준표 지지모임' 회원들, 이재명 지지선언…"국힘, 보수 아냐" | 연합뉴스
- "딸아 지켜주지 못해 미안해"…법정 울린 피해자 부친의 절규 | 연합뉴스
- '달걀 속에 또 달걀'…괴산서 3년생 청계가 낳아 | 연합뉴스
- 시흥 물왕호수서 60대 여성 숨진 채 발견…경찰 수사 | 연합뉴스
- 연이자 3천% 못 갚으면 지인들에 나체사진 유포한 불법대부업체 | 연합뉴스
- 지적장애 여성과 혼인신고 뒤 전재산 빼앗은 30대 구속기소 | 연합뉴스
- 하드코어 프로레슬링 개척한 '사부', 60세 일기로 별세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