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한국형전투기·소형민수무장헬기 개발 둥지 틀었다

최선 2016. 10. 10. 13:5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남 사천 본사에 1만1000m²규모 복합재 전용공장 준공첨단 항공 복합재 생산 인프라 확대하성용 사장 "핵심사업 성공과 항공산업 기술 발전 거점"
KF-X 형상 이미지. 한국항공우주산업 제공.
[이데일리 최선 기자] 한국항공우주(047810)산업(KAI)이 한국형전투기(KF-X), 소형 민수·무장헬기(LCH·LAH) 개발과 제작의 기초가 되는 복합재 전용공장 가동 준비를 마쳤다.

KAI는 10일 경남 사천 본사에서 복합재 전용 공장인 ‘복합동’ 준공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에 준공한 복합동은 총 면적 1만1000m²(3328평), 높이 15m 규모의 최첨단 시설로 여기에서 KF-X와 LCH·LAH의 동체, 날개, 블레이드 등 현재 개발 중인 첨단 신규 항공기에 적용되는 복합재 구조물의 개발과 제작이 이뤄진다.

복합재란 수백, 수천겹의 탄소 또는 유리섬유 등을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서 고온, 가압해 만든 신소재다. 알루미늄 소재에 비해 4분의 1에 불과한 무게로 항공기 무게절감과 연료효율 강화에 탁월한 효과를 지녔다.

또한 KAI는 복합동 옆에 국내 최대 규모의 ‘주로터 블레이드 동적 밸런싱 훨 타워’를 구축했다. 그동안 해외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의뢰해 오던 ‘주로터 블레이드 동적 밸런싱’ 테스트를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됐다.

KAI는 이번 복합재 전용공장 확보를 통해 기술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세계 항공우주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KAI는 보잉, 에어버스 등 대형 민항기 공동개발에 참여해 대형복합재 일체형 구조물 기술을 확보하고 국산 소형 민항기 KC-100에 적용했다. 군수분야에서는 수리온 기동헬기 개발 시 블레이드를 국내개발해 우리나라를 세계 10번째 블레이드 개발국으로 진입시켰다.

향후 KAI는 복합재 구조물 설계기술에 이어 이번 복합재 전용생산시설을 기반으로 LCH·LAH의 블레이드를 비롯한 복합재 부품을 개발·생산하고 KF-X 전투기 개발에 적용되는 복합재 제작 신기술도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하성용 KAI 사장은 기념사에서 “복합동은 최첨단 복합재 기술 개발과 생산의 산실로 KF-X, LCH·LAH 등 국가 전략사업 성공의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며 “향후 KAI 뿐만 아니라 국내 항공산업의 기술력을 한 단계 더 끌어올리는 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선 (bestgiza@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