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지방

낙동강 발암물질 농도, 취·정수 3대강 중 가장 높아

등록 2016.10.10 10:43:18수정 2016.12.28 17:45:1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대구=뉴시스】추상철 기자 = 낙동강에 겨울녹조가 발생 지난해 12월 조류주위보를 발령한 가운데 8일 오전 대구 달성군 낙동강 강정보 강물이 녹조로 뒤덮혀 있다. 2016.01.08.  scchoo@newsis.com

낙동강 수계 수돗물 원수 이용 대구·경북 시·도민 불안감 상승

【대구=뉴시스】정창오 기자 = 낙동강의 정수와 원수에서 검출되는 발암물질의 농도가 한강과 금강 등 취·정수 3대강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구·경북을 포함한 영남권 주민들의 먹는 물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다.



 10일 새누리당 조원진(대구 달서병)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취·정수장이 없는 영산강을 제외한 한강· 금강· 낙동강 등 3대강의 취·정수장 수질검사 결과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1,4-다이옥산· 포름알데히드· 총트리할로메탄 등 일부 항목의 농도가 낙동강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정수 수질검사 결과 낙동강은 건강상 유해영향 유기물질 항목 중 발암물질로 알려진 1,4-다이옥산의 농도(0.00068㎎/L)가 한강(0.00006㎎/L)에 비해 11.3배 높았다.

 또한 소독제와 소독부산물 항목 중 발암물질로 알려진 포름알데히드의 농도(0.00218㎎/L)가 한강(0.00011㎎/L)에 비해 19.8배, 금강(0.00007㎎/L)에 비해 31.1배나 높았다.



 총트리할로메탄의 농도(0.027㎎/L)도 한강(0.022㎎/L)과 금강(0.020㎎/L)보다 높아 낙동강을 먹는 물로 하는 영남권 주민들이 발암물질에 더 많이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납과 불소, 비소 등 건강상 유해영향을 주는 여러 물질들의 농도가 한강과 금강에 비해 낙동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낙동강의 유해물질 검출 농도는 먹는 물 수질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수준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조원진 의원은 “유해물질은 가능한 한 낮을수록 좋은 만큼 낙동강 수질에 대한 불안감이 사라질 수 있도록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jco@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

구독
구독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