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벼농사 풍작.. 수매비용 5000억 더 들 듯
올해도 풍년이 들어 시중에 쌀이 넘쳐날 듯하다. 올해 쌀 생산량은 420만여t에 달할 것으로 조사됐다. 작년보다 2.9% 줄었지만 평년보다는 6% 이상 많은 양이다. 한 해 쌀 수요량(390만t)을 감안하면 정부가 올해 시장에서 사들일 초과 생산량은 30만t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7일 통계청이 발표한 쌀 예상생산량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쌀 생산량은 420만2000t으로 1년 전보다 2.9%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량 기준으로는 지난해보다 줄었지만 쌀 재배면적 감소분(2.6%)을 고려하면 면적당 생산량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다.
특히 최근 5년 중 최고와 최저를 제외한 연도 평균인 평년(396만t)보다는 6.1% 많은 양이다. 쌀 생산량은 2011년 422만t에서 2012년 401만t으로 소폭 감소한 뒤 2013년 423만t 2014년 424만t 등 꾸준히 400만t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통계청 관계자는 “벼 낟알이 익는 시기인 9월 상순부터 하순까지 일조시간과 일교차가 줄어든 탓에 10a당 생산량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평년과 비교해보면 풍작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쌀 재배면적은 1년 전보다 소폭 감소한 77만9000㏊다. 시·도별 쌀 생산량을 보면 전남이 84만8000t으로 가장 많았고, 충남 77만9000t, 전북 68만6000t 등의 순이었다. 이들 3개 시도가 전체 생산량의 절반이 넘는 55.1%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사들일 초과 생산량은 30만t가량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전날 쌀값 폭락을 막기 위해 쌀 수요를 초과하는 물량을 전량 수매하겠다고 밝혔다. 초과 생산량 수매에 들어가는 비용은 5000억원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쌀 직불금으로 내년 예산에 반영한 1조8000억원을 포함하면 올해 재배된 쌀에 들어가는 정부 예산만 2조3000억원에 달하는 셈이다.
김재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부처 예산 14조4000억원 가운데 쌀 예산만 5조원에 달한다”며 “쌀 직불금제 개편 필요성을 인정해 관련 용역을 발주했고, 오는 11월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고 말했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통한 소식통에 들었다”던 박지원…이재명 파기환송에 “예상외 판결”
- "(뉴진스) 계약은 장난이 아니다" 레전드 프로듀서의 일침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이것들 봐라? 한 달만 기다려라” 민주당 ‘보복’ 예고?…하루도 안 넘기고 심우정 총장 탄핵
- '도난 피해' 박나래, 결국 눈물 쏟았다…김지연 "한결같이 잘해준 유일한 분"
- 백종원 “이제 다 바꾸겠습니다”…50억 쏟아부은 이유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