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도 秋鬪.. 수출 대동맥이 막힌다
[서울신문]지역 경제 피해 도미노 우려… 정부 “단호 대처” 대국민 담화
한진해운 법정관리 등으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우리 경제가 ‘추투’(秋鬪)의 소용돌이에 휩싸이며 총체적인 물류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철도노조에 이어 육상 컨테이너 화물 운송의 3분의1을 담당하고 있는 화물연대마저 오는 10일부터 파업에 들어가면 수출 타격뿐 아니라 경제 전반에 상당한 후폭풍이 불가피하다. 현대자동차의 파업으로 피해액이 이미 3조원을 웃돌면서 울산 지역 경제도 흔들리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고위 관계자는 6일 “국제유가 상승이라는 호재성 요인보다는 자동차 파업과 화물연대 파업 등에 따른 악재들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크다”면서 “파업이 예정대로 시작된다면 이달 수출은 상상하기 힘든 수준으로 곤두박질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수출은 지난 8월 ‘반짝 상승’ 이후 한 달 만인 지난달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자동차 파업이 가장 큰 악영향을 줬다. 여기에다 국내 전체의 32.2%인 7000여대의 컨테이너 차량 차주를 조합원으로 둔 화물연대 파업이 가세한다면 수출은 엎친 데 덮친 격이 된다.
내수는 더 심각하다. 수도권에서 지역으로 내려가는 물류의 흐름이 마비되면 1차적으로 생산된 제품의 운송 지연에 따른 피해, 재고가 쌓이는 데 따른 막대한 추가 비용 등 피해가 연쇄적으로 이어진다. 그나마 대체 차량을 확보할 여력이 있는 대기업과 달리 자본력이 약한 중소업체들의 피해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김병훈 한국무역협회 실장은 “미국과 유럽의 쇼핑 시즌이 다가오는데 때아닌 물류 대란으로 피해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면서 “정부는 항공과 배편 등 대체 운송수단을 원활히 투입해 중소 화주의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화물연대가 내세운 파업의 이유가 ‘소형 화물차 진입 규제 완화’여서 파업의 요건이 성립하지 않는다고 보고 있다. 이에 파업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긴급조정권 발동을 포함해 강경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날 대국민 담화문에서 “화물연대의 파업은 국가 경제의 어려움을 외면하는 집단 이기주의적 행동”이라면서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 환경보호 하느라 샤샤샤~ 알뜰살뜰 아이디어 넘치는 당신이라면? (6월 19일까지 참여하세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2008년엔 8조 손실.. 해상·철도·육상물류 첫 동시 마비 우려
- 화물열차 하루 40회로 증편.. 중견 선사 '연안 해운 수송' 확대
- 朴대통령 "일부 노조, 기득권 놓지 않고 구조조정에 저항"
- 年100회 호스트바 출입한 40대女 정체가..
- 단식 후 퇴원한 이정현, 어디 가나 봤더니..
- “의원 배지 떨어진 설움” 민경욱 국회왔다 새차 견인당해
- 아파트 방화살인범 안인득, 무기징역 감형 불복 대법원 상고
- 목줄 없이 달려든 개에 놀라 전치 3주…견주 벌금 50만원
- “박사방 22GB 싸요 싸”… 아직도 조주빈은 있다
- “양질의 일자리 부족 가장 큰 원인… 직무능력으로 임금 받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