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박물관 가장 많이 팔린 기념품이..100원짜리 탁본용 화선지

김승현 2016. 9. 18. 14: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박물관에서 살 만한 문화 상품이나 기념품이 빈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더불어민주당 박경미 의원(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 국립박물관문화재단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박물관을 대표하는 ‘킬러 상품’이 없고, 방문객 구입 10대 상품들은 초저가 상품들뿐이라는 게 박 의원의 주장이다.

최근 3년 간 박물관별 문화상품 판매 현황을 보면 실상이 드러난다.

문화상품 판매액 상위 3개 박물관과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에서 판매된 상품 리스트(수량기준)를 보면 국립중앙박물관 판매 1위 품목은 박물관백배즐기기-선사고대(1000원)였다.
국립경주박물관은 탁본화선지(100원)가 가장 많이 팔렸고, 국립민속박물관은 비녀연필(2000원)이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은 유물연필(600원)이었다.
주로 단체 관람 학생들이 구입하는 문방구와 박물관 안내 관련 상품이다. 가장 많이 팔린 탁본화선지는 학생들의 현장 체험 학습을 위해 구매하는 것이었다.
탁본용 화선지.
상위 10대 상품 대부분은 100원~6000원 정도의 초저가 상품이었다.

박경미 의원은 “5만~10만 원대 상품 중 표본 조사한 화접도스카프(5만5000원), 청자다식접시세트(5만2000원)의 최근 3년 간 총 판매량은 각각 274개와 392개에 불과했다”며 “10만 원 이상 고액 상품인 연가7년명금동여래입상(13만5000원)과 달항아리(32만원)는 3년 누적 각 7개, 11개 판매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수요자 구매 실태에 대한 심층 조사와 분석을 통한 쌍방향 소통으로 상품성과 작품성을 모두 만족 시킬 수 있는 문화상품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승현 기자
shyun@joongang.co.kr

F-35 결함으로 이륙 금지···"한국 곤란한 상황"

사정 급한 군인 태워줬다···'여혐' 시달리는 버스기사

태영호 오자마자 美 CIA 직접 조사···강남 안가는 어디?

레지던트와 결혼한 여교사···남편 외도 의심하다 결국

호스트바 좋아하다 '거지' 된 여배우···AV 배우 데뷔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