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엄 베이비 고교생 되자 중학생 12만 명 줄었다

박형수.정현진.전민희 입력 2016. 8. 31. 02:25 수정 2016. 8. 31. 14: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년 새 8% 줄어 145만 명으로중3 한 학급 인원 21~23명 수준도심·농촌학교 학생 유치 애먹어종로 교동초는 강남 학생 데려와2020년 대입정원, 고교 졸업생 초과"교육의 질 높이려는 대학만 생존"
직장맘 김미자(49·경기도 광명시)씨의 첫째 딸은 2000년생이다. 현재 고교 1학년이다. 그의 학급 학생 수는 33명. 반면 두 살 터울인 동생(중2) 학급은 27명이다. 김씨는 “두 아이가 같은 초등학교, 중학교를 다녔는데 둘째는 한 반 정원이 첫째에 비해 3명 이상 적었다. 2년 새 학생이 줄어 급식 도우미 엄마도 뽑지 않더라”고 말했다.
기사 이미지
‘밀레니엄 베이비’라는 축복을 받은 2000년생은 63만4501명. 이 가운데 59만1845명이 올해 고1이 됐다. 이들을 고비로 초·중·고교 학생 수는 급격히 줄어든다. 30일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2016년 교육기본통계’에 따르면 올해 고1인 밀레니엄 베이비 이후 학생 수는 현재 초등학교 5학년생(41만 9509명)에서 한 차례 바닥을 친 뒤 초등 3학년생(2007년생·황금돼지띠)에서 늘어났다가 다시 줄어든다. 인구감소가 급격한 인구절벽이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당장 학교 현장에선 중학생 감소가 현저하다. 중학생 수는 지난해 158만5951명에서 한 해 만에 8.1%(12만8461명) 줄었다. 서울 북서울중학교는 지난해 중3의 한 학급 인원이 27~30명이었지만 올해 중3은 21~23명, 중1은 20명이다. 이수영(사회) 교사는 “교사 부담이 줄어 토론과 발표 위주 수업을 하기에 용이해졌다. 학생 수가 줄어드니 학생부 작성도 보다 꼼꼼하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사 이미지
▷여기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올해 교원 1인당 학생 수(초·중·고 각각 14.6명, 13.3명, 12.9명)도 줄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들의 평균(초·중·고 각각 15.2명, 13.4명, 13.3명)에 근접했다. 또한 올해 학급당 학생 수는 초·중·고가 22.4명, 27.4명, 29.3명으로 집계됐다. 고교 학급당 학생 수가 30명 이내로 떨어진 건 올해가 처음이다. 부모 세대가 학창 시절을 보낸 26년 전(1990년) 초·중·고의 학급당 학생 수는 각각 41.4명, 50.2명, 52.8명이었다.

이처럼 인구 감소가 그간 고질적이었던 과밀학급 해소에 기여한 측면이 있는 반면 인구 공동화현상이 심각한 도심·농산어촌 학교들은 학생 유치에 애를 먹고 있다. 서울 종로구 교동초의 현재 전교생 수는 118명. 한때 전교생 수가 5600명이었던 적(1967년)도 있다. 이 학교는 더 이상 정원을 채우기 어렵게 되자 거주지가 아니더라도 학부모 의사에 따라 전학이 가능하도록 했다. 배창식 교장은 “학생 30%가량은 서초구·은평구·성북구 등 다른 지역에서 온다. 수업, 방과후 학교의 질을 높여 학생을 모으고 있다”고 밝혔다.

눈앞에 닥친 인구절벽에 고민이 가장 큰 곳은 대학이다. 밀레니엄 베이비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2019학년도엔 고교 졸업자가 59만 명, 현 중3이 졸업하는 2020학년도엔 52만 명이 된다. 2020년엔 대학입학 정원(2017학년도 기준 56만 명)이 고교 졸업자보다 많은 ‘정원 역전’이 발생한다. 충청권의 4년제 대학 기획처장은 “최근 3년 새 한 번이라도 신입생 충원율이 70% 이하를 나타낸 대학이 20곳이 넘는다. 인구절벽이 본격화되면 학생을 못 채운 대학이 속출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지훈 경희대 미래고등교육연구소장은 “지금껏 대학이 재정을 학생에게 의존하면서도 학생 교육에 무관심했던 면이 있다. 앞으로는 교육 질 향상에 노력하는 대학만이 살아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형수·정현진·전민희 기자 hspark97@joongang.co.kr

야쿠르트 아줌마는 '사장님'···대리운전기사는요?

월 370만원 버는 50대 女교사, 남편과 노후 준비는···

여성엔 "나 의사야" 남성엔 "고수익"···11억 등친 사기꾼

北 잠수함 잡을 '포세이돈'···1조에 4대 도입 검토

두바이 왕, 관공서 깜짝 시찰···'왜 아무도 없지?'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