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0년 된 이야기'..40년이 지나 완독하다

신혜선 문화부장 2016. 8. 27. 07:5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 특별전.."유물 2만점이 들려주는 12~13세기 동아시아 이야기"

[머니투데이 신혜선 문화부장] [국립중앙박물관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 특별전…"유물 2만점이 들려주는 12~13세기 동아시아 이야기"]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 전시실 맨 앞에 서 있는 배 조형물. 원래 크기의 10분의 1로 축소된 모형이다. 실제 배는 길이 34미터, 폭 11미터, 중량 200톤급 이상으로 중국 푸젠 성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한다. 해저선은 1323년 중국 경원항을 출발해 하카타 항으로 가던 중 제주 해역에서 표류하다 신안 앞바다에서 침몰했을 가능성이 높다./사진제공=갤럭시6, 신혜선

“중국에서 배가 출항했어요. 목적지는 일본인 거 같은데 불행히도 신안 앞바다에서 침몰했어요. 한참 후에 엄청난 양의 유물들이 발견됐습니다. 누구 속이 제일 쓰릴까요?”

'찰 진' 전라도 말씨의 최선주 박사(중앙국립박물관 아시아부장,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 전시 담당)가 대뜸 물었을 때 오히려 반문했다. “가만, 그 유물들 주인은 누구죠?” “하하, 물론 우리 거죠. 우리 영해에서 발견됐으니. 속지주의 원칙입니다.” “흠, 그렇다면 중국!” “일본 아닐까요?” “왜죠?” “안타깝게 사고를 당한 사람들을 빼고 보면, 중국 측은 이미 돈을 받았고, 일본 측은 돈을 주고도 물건을 못 받았으니까요.”

근거는 ‘목간’이다. 목간은 지금의 택배 운송장이다. 즉, 나무 꼬리표에는 물건이 도착할 곳, 수령인의 이름과 물건 내용이 적혀있다. 신안 앞바다에서 발견된 침몰선에서는 300여 점의 목간이 발견됐다. 주소지 모두 다 일본이다. 고려 사람의 이름이나 고려와 관련된 사찰, 기관의 목간은 나오지 않았다. 40년 동안 바다에 있었으니 더 유실됐을 가능성이 크지만, 당시 고려에 들려 물건을 내려놓고 가는 게 목적이었을 가능성은 낮다.

40년 전인 1975년, 신안 앞바다에서 처음 발견돼 이듬해부터 10년간 해상발굴을 통해 발견된 침몰선은 이렇게 중국에서 일본으로 가는 무역선이었다.

함께 발견된, 즉 배에 실렸던 물품은 도자기와 금속품 재질의 다양한 용도의 그릇(큰 볼부터 대접, 주전자, 작은 접시, 찻잔, 잔 받침 등), 항아리, 화병, 연적, 장신구 등 무려 2만 점이 넘었다.

신안해저선에서 발견된 동전은 800만개, 무게만 28톤이다. 중국의 동전이 일본으로 가는 배에 실린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중국 화폐가 일본에서 사용되거나 녹여 불상을 만드는데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한다. /사진=갤럭시6, 신혜선

도대체 일본에서 중국 화폐가 왜 필요했을까. “지금으로 치면 외환거래법 위반 아닌가요?” (웃음) 발견된 엽전은 800만 개, 무게만 28톤이다. 동전이 그대로 유통됐을 가능성과 녹여서 불상 등을 만드는 데 사용했을 가능성 모두 있다.

고급 불상이나 가구에 사용되는 ‘자단목’이 ‘멀쩡하게’ 발견된 것도 놀랍고, 후추와 계피와 같은 향신료나 약재, 배에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숯 역시 신기할 정도로 그대로다. ‘갯벌’에 박혀 그대로 보존돼 부식이 덜 됐다 하지만 보존 상태가 대단하다. 650년을 넘어 현대 대한민국 앞바다로 온 ‘신안해저선’은 그야말로 보물선이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발굴 40주년을 기념해 전시를 준비했다. 기념 전시가 더욱 뜻깊어진 이유는 박물관 최초로 ‘수장고를 탈탈 털었기’ 때문이다. 올 3월 새로 부임한 이영훈 관장이 “이왕지사 할 거 제대도 해보자”며 보여줄 수 있는 유물을 다 꺼내자고 한 것. 그간 신안해저선 관련 전시는 있었지만 500~1천 점 정도의 유물을 보여주는 수준이었다. 전시 4개월을 앞두고 1천 점 정도로 구상한 전시품목을 2만 개로 늘리다니. 학예사들은 당황했지만 2만 점의 유물을 하나씩 추리기 시작했다.

전시를 보는 내내 탄성이 그치질 않았다. 650년 전 물건이 그렇게 멀쩡하다는 것도 신기거니와 그릇 도매 시장에 온 듯 물건의 양이 어마어마했다.

40년 전 신안해저선을 발굴한 후 국립중앙박물관은 500점, 1천점 정도 전시회를 열었으나 이번처럼 수장고에 보관중인 2만여점의 유물 전체를 한꺼번에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릇도매상에 온듯 전시장의 유물이 가득하다. 물론, 지금 내놓아도 빠지지 않는 디자인과 보관 상태가 650년의 세월을 무색하게 한다. /사진=갤럭시6, 신혜선
신안해저선에는 도자기로 만들어진 다양한 용도의 그릇과 생활용품이 가득 실려있었다. 또, 항아리안에는 계피나 나무 등 약재 및 향신료가 들어 있었다. 연구자들은 발견 당시 많은 항아리는 비어있었지만 술과 같은 음식도 담겨있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사진제공=갤럭시6, 신혜선

신안해저선에서 찾아낸 것들은 다양한 유물이지만, 전시는 그저 오래된 유물을 보여주는 도자기, 금속공예전의 의미 이상이다. 2만 점을 한꺼번에 만나게 되니 한편의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구성됐다.

12~13세기 중국 송나라 시대의 동아시아 무역, 문화의 전파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저절로 상상하게 된다. 오랜 바다의 여정,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나무 상자의 뚜껑에 그리고 놀았을 장기판이며 바둑돌. 부러졌지만 반 이상 멀쩡하게 남은 도마와 칼 그리고 나라의 특색을 담은 수저 등은 선상의 생활과 탑승한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을 짐작하게 한다.

항해중 배의 생활을 알 수 있는 생활용품도 발견됐다. 짚으로 만든 모자, 숯과 주전자, 거르는 국자, 도마, 칼, 그리고 나무상자 뚜껑에 새겨 놀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장기판, 바둑판은 발견되지 않았으니 바둑돌도 있었다. 650년전 것이라고 생각하기에는 원형 보존이 완벽하고 부식이 덜돼 감탄이 절로 난다. /사진=갤럭시6, 신혜선

신안해저선 발굴은 우리나라 해양유물 (수중) 발굴의 시초였다. 바닷속 유물을 발굴한 경험이 없는 터라 당시 유물을 수습한 이들은 해군(잠수요원)이었다. 그리고 젊은 학예연구원들이 그 유물의 정체를 파악하고, 이름을 붙이고, 얽힌 이야기를 꿰맞춰 나갔다. 그들은 문화재를 관리하고 탐구하는 수장 자리에 올라있거나, 작고했다. 40년이 흘렀으니 생존한 이들의 나이는 80 전후다.

“동아시아 문화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교류되고, 공통분모가 있었던 거죠. 만일 배가 침몰하지 않고 목적지에 도착했다면, 일본 사회에 대단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겠습니까. 이거 보세요. 이 보물선은 매우 슬픈 이야기입니다. 마치 우리에게 흘러올 것을 예상한 것처럼. 나머지 하나도 분명 있을 거예요.”

신안해저선의 침몰은 당시 사람들에게는 매우 큰 슬픔과 고통을 안기는 사건이었다. 650년이 지나 우리에게 발견된 유물을 더욱 소중하고 값지게 다뤄야하는 이유다. 40년전 발굴한 연구자들이나 지금도 연구하는 이들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분명 함께 실렸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또 다른 접시와 싯구 후반부를 가슴속에 새기고 있다. \

최 박사가 가리킨 건 마지막 전시관 출구 쪽에 세워진 백자 접시다. 분홍 나뭇잎 두 장이 그려져 있는 흰 접시에는 한시가 적혀있다. 당나라 때 궁녀가 지은 시라고 한다.

“흐르는 물은 어찌 저리도 급한고/ 깊은 궁궐은 종일토록 한가한데”. 학자들은 시 후반부가 적힌 접시가 배에 함께 실렸을 가능성을 높게 본다. 그 시 후반부는 이렇다. “은근한 마음 붉은 잎에 시어 보내니/ 인간 세상으로 쉬이 흘러가기를”

조금 천박할지 모르지만, 이번 전시에 공개된 유물 2만 점을 현재 화폐가치로 환산하면 1조 원에 달한다고 한다. (800만 개 동전은 빼고) 단 5천 원의 입장료를 내고 1조 원 어치 유물을, 그것도 650년 전 사람들의 이야기를 보고 듣지 않을 이유는 없다. 눈치 빠른 국민 5만 명이 찾았다고 한다. 서울 전시는 9월 4일까지니 서둘러야 한다. 이후엔 10월 25일부터 2017년 1월 30일까지 일정으로 국립광주박물관에서 전시가 이어진다.

전시실을 나서는 곳에는 '등장인물'을 새긴 푯말이 세워져있다. 이들이 없었다면, 650년전 사람들의 생활과 문화를 알 수 없었을 것이다. 발굴 조사단의 적지 않은 요원들은 작고했고, 다수가 현재 우리 문화를 지키고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신혜선 문화부장 shinhs@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