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누진세 폭탄…요금체계 개편 '한 목소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연일 폭염이 지속됨에 따라 에어컨 사용이 늘면서 누진세에 따른 전기료 폭탄을 맞는 가정이 늘고 있다.
ADVERTISEMENT
현재 가정용 전기요금은 6단계로 나뉘고 있다. 1단계는 킬로와트시(kWh) 당 전력량 요금이 60.7원이지만, 6단계에 들어서면 709.5원으로 11.7배가 뛴다.
그러나 전력사용 행태가 달라진 상황에 소비자들에게만 절약을 요구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관련 학계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전기 요금제 개편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ADVERTISEMENT
에너지경제연구원 조성진 연구위원과 박광수 선임 연구위원은 ‘주택용 전력수요의 계절별 가격탄력성 추정을 통한 누진 요금제 효과 검증 연구’ 논문을 통해 “가구당 전력소비가 증가하면 이런 추세를 반영한 누진구간이나 누진 배율의 조정이 필요함에도 10년간 전혀 변화가 없었다”며 “적정원가를 반영한 요금구조보다 소비절약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가구당 월평균 전력사용량은 1998년 163kWh에서 2006년 220kWh, 2014년 226kWh로 증가했다. 전력 소비량이 300kWh를 초과하는 가구 비중 또한 같은 기간 5.8%에서 22.6%, 28.7%로 늘었다.
ADVERTISEMENT
저소득층에는 복지할인 요금이 적용되긴 하지만, 장애인 가구처럼 전력사용이 많을 수밖에 없는 가구는 결국 누진제로 인해 원가 이상의 요금을 내야만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조성진 연구위원과 윤태연 부연구위원은 “현행 체계에서 가장 많은 혜택을 받는 대상은 고소득 1인 가구”라면서 “구조적으로 전력소비가 많을 수밖에 없는 가구는 저소득층이라고 해도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